"관상동맥중재술 받은 당뇨환자, 유산소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22% ↓"

서울대병원 연구…"운동 하다 중단했어도 아예 안한 경우보다 위험도 12%↓"

 관상동맥중재시술(PCI)을 받은 당뇨병 환자가 시술 전후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면 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등 심혈관질환 위험이 22%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순환기내과 한정규 교수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을 앓는 관상동맥중재시술 환자 8천여명의 운동 습관과 심혈관계 치료 성적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당뇨병 환자들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힐 위험이 크다.

 치료를 위해서는 스텐트 등 기구를 넣어 좁아진 혈관을 인위적으로 넓히는 관상동맥중재시술을 실시하는데, 당뇨병 환자는 시술 후 혈관 재협착이 쉽게 발생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재시술 전과 후 모두 유산소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인 대조군, 시술 전에는 운동을 하지 않았지만 이후 시작한 시작군, 시술 전 운동을 했다가 이후 멈춘 중단군, 전후 모두 꾸준히 운동을 한 지속군으로 나뉘었다.

 연구팀이 연령·기저질환·약물 등의 변수를 보정한 결과 지속군은 대조군보다 주요 심혈관사건(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 심부전, 혈관을 다시 뚫어야 하는 재관류술이 필요한 경우)의 위험이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군과 시작군은 각각 12%, 11% 낮았다.

"관상동맥중재술 받은 당뇨환자, 유산소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22% ↓" - 2

 다만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유산소 운동은 오히려 심혈관사건 예방에 좋지 않았다. 대사율과 에너지 소비로 측정한 운동강도(MET)와 운동시간(분)을 곱한 값으로 보면 그 값이 1천∼1천499일 때 심혈관사건 위험이 가장 낮았다.

 1천500 이상부터는 다시 심혈관사건 위험이 증가했다. 이 수치는 1주일에 약 6시간 이상의 중등도 강도 운동(빠르게 걷기, 테니스 등)을 하거나 3.5시간 이상의 고강도 운동(달리기, 에어로빅, 등산 등)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연구진은 "당뇨병·심혈관질환 환자의 운동량이 가이드라인의 1.5∼2배를 초과할 경우 유산소운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며 "장기간 과도한 운동 시 당뇨병 환자에게 저혈당 위험이 생길 수 있고, 관상동맥질환자는 심장기능 저하나 부정맥·심근경색·돌연사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정규 교수는 "특히 시작군, 중단군도 운동을 역시 전혀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예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운동의 긍정적 효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이 연구는 '유럽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근 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