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名家 '심장병 사관학교' 세종병원 가보니…"심장만큼은 빅5"

2차 종합병원 부천·인천세종병원…이식 등 고난도 심장수술·시술 年400건 육박
"같은 방법 치료해도 상급종합병원보다 수가 떨어져…중증 진료 지원 절실"

 "우리나라 연간 심장이식 수술이 200건 정도 되는데, 그중 두 건이 오늘과 내일 인천세종병원에서 이뤄집니다. 지금 막 심장이식팀이 기증자가 있는 병원에서 심장을 떼고 출발했어요." 

 지난 17일 찾은 인천세종병원에서 이 병원을 운영하는 혜원의료재단 박진식 이사장(심장내과 전문의)은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의료진은 심장수술이 정점에 위치한 이식수술에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재단이 운영하는 부천·인천 세종병원은 2차 종합병원이지만 '심장수술의 명가'답게 심장 분야에서 '빅5' 상급종합병원급 규모와 난도의 진료·수술을 한다.

 1982년 개원한 부천세종병원은 301병상 규모의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이다.

 인천세종병원은 2017년 문을 열었고 307병상을 운영한다.

 이들 병원은 심장이 거의 뛰지 않는 환자가 다는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와 흉부 절개 없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타비(TAVI), 이식술 등 고난도 심장시술·수술을 지난해 기준 379건(부천 264건·인천 115건) 실시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의 수는 부천과 인천이 각각 9명, 5명이다. 인근 상급종합병원이 5명 이하인 것과 비교해 많다.

 부천병원의 경우 일부 빅5 병원과도 비슷한 인원이다.

 부천세종병원은 특히 희귀·고난도 진료영역인 소아심장 진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전국 소아심장세부전문의의 5.6%(소아청소년과), 10.3%(심장혈관흉부외과)가 부천세종병원에서 근무한다.

 이 병원의 소아 심장 시술·수술 건수는 지난해 기준 각 540건, 174건이다.

 박 이사장은 "심장 분야만큼은 우리가 빅4, 빅5쯤 된다"고 했다.

 필수의료 붕괴의 대표적 사례인 심장 분야에서 2차병원이 명맥을 이어올 수 있었던 비결을 묻자 박 이사장은 "오로지 의료진의 사명감과 헌신"이라고 답했다.

 그는 "중증 심장병 치료라는 목표 하나로 초심을 잃지 않고 해 왔지만 운영이 어렵다. 병원 육성을 위한 제도를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심장 등 (어려운) 중증 진료를 하지 않으면서도 비급여를 많이 하는 병원처럼 잘 되기가 힘들어요. 세종병원 비급여 본인부담률은 7.3%로 상급종합병원 평균보다 낮은데, '우리도 남들처럼 해야 하나'라는 유혹이 계속 있죠."

 의료진 유출도 상당하다.

 박 이사장은 "부천세종병원은 '심장병 사관학교'라 불리는데, 전국 심장 분야 명의는 거의 우리를 거쳐 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희소 분야 인재를 키워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보상도 없고 의료진들은 상급종합병원 등으로 유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의료진들은 상급종합병원만큼 역량 있는 2차병원을 인정해주는 평가 시스템과 이러한 역량을 더욱 키울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오병희 병원장은 "현재는 전문병원에 분야별로 등급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병원 역량을 잘 드러내지 못한다"며 "환자들이 '심장은 서울 상급병원처럼 잘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세부 평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경섭 인천세종병원 공공의료실장은 "같은 방법으로 같은 환자를 치료해도 중환자실 수가는 상급종합병원의 78%, 격리실 수가는 64%까지 떨어진다"며 "위험도·난도를 고려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순옥 인천세종병원 간호부원장은 "환자 중증도가 높다 보니 간호사 교육·훈련에 굉장히 긴 시간이 걸리는데, 급여·인력·브랜드 파워 문제로 이들이 대학병원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며 "상급병원만큼 중증 환자를 보고 성과를 낸다면 2차병원에도 같은 지원을 해 인력이 여기에 머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40년 名家 '심장병 사관학교' 세종병원 가보니…"심장만큼은 빅5"
"우리나라 연간 심장이식 수술이 200건 정도 되는데, 그중 두 건이 오늘과 내일 인천세종병원에서 이뤄집니다. 지금 막 심장이식팀이 기증자가 있는 병원에서 심장을 떼고 출발했어요." 지난 17일 찾은 인천세종병원에서 이 병원을 운영하는 혜원의료재단 박진식 이사장(심장내과 전문의)은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의료진은 심장수술이 정점에 위치한 이식수술에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오병희 병원장은 "이식팀이 실시간으로 심장의 위치와 상태를 중계하면 수술팀은 그에 맞춰 환자 가슴을 미리 열어놓고, 3시간 이내에 심장이 도착하자마자 바로 이식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세종병원은 지난해 15건의 심장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재단이 운영하는 부천·인천 세종병원은 2차 종합병원이지만 '심장수술의 명가'답게 심장 분야에서 '빅5' 상급종합병원급 규모와 난도의 진료·수술을 한다. 1982년 개원한 부천세종병원은 301병상 규모의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이다. 인천세종병원은 2017년 문을 열었고 307병상을 운영한다. 이들 병원은 심장이 거의 뛰지 않는 환자가 다는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와 흉부 절개 없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타비(TAVI),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