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치료제 챔픽스, 청소년 전자담배 금연에도 효과적"

美 연구팀 "바레니클린 투여 금연 성공률, 위약보다 3배 높아"

 

 성인 금연치료제 챔픽스의 유효성분인 '바레니클린'(varenicline)이 청소년들이 전자담배를 끊게 도와주는 데에도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A. 이든 에빈스 박사팀은 25일 미국 의사협회 저널(JAMA)에서 청소년·청년 260여명에 대한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바레니클린 투여 그룹의 전자담배 금연 성공률이 위약 그룹보다 3배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6~25세 전자담배 사용자 261명을 모집하고, 이들을 바레니클린 그룹(매주 행동 상담, 문자 지원 병행)과 위약 그룹(매주 행동 상담, 문자 지원 병행), 문자 그룹(문자 서비스만 지원) 등 3개 그룹에 무작위로 배정했다.

 바레니클린은 성인 금연 약물로 승인된 성분으로 금연치료제 챔픽스의 유효 성분이며, 니코틴수용체에 달라붙어 니코틴이 결합할 자리를 빼앗고 담배를 피울 때 맛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레니클린 그룹(88명)은 12주간 하루 2회씩 바레니클린 1㎎ 투여받고 매주 상담 및 전자담배 중단 문자 지원 서비스를 받았다.

 같은 기간 위약 그룹(87명)은 위약과 상담, 문자 서비스를, 문자 그룹(86명)은 문자 서비스를 받았다.

 참가자들은 매주 전자담배 금연 여부를 보고하고 코티닌 타액 검사로 반응을 확인했으며, 각 그룹은 12주간 치료 후 3개월간 금연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바레니클린 그룹은 12주 치료 후 51%가 전자담배 사용을 중단한 반면 위약 그룹은 14%, 문자 서비스 그룹은 6%만이 금연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종료 12주 후 금연율은 바레니클린 그룹이 28%, 위약 그룹 7%, 문자 서비스 그룹 4%로 바레니클린 그룹의 금연 지속 비율이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바레니클린 그룹이 위약 그룹보다 3배 높은 금연 성공률을 보인 것은 전자담배 금연에 약물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바레니클린은 이미 성인 금연 치료제로 승인돼 있어 16~25세 모든 사람에게 처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 연구자인 랜디 슈스터 박사는 "바레니클린은 금연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전자담배를 끊은 참가자가 일반 담배로 전환하는 일도 없었다"며 "이는 바레니클린이 전자담배 니코틴에 중독된 청소년의 금연에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A. Eden Evins et al., 'Smoking Cessation Drug Varenicline Helps Young Adults Quit Vaping',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10.1001/jama.2025.3810?guestAccessKey=8c0aa836-0f6d-465e-86ea-178fe0d81e70&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04232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