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비만약 삭센다, 비만 암 예방효과 비만수술보다 41% 커"

이스라엘 연구팀, GLP-1RA와 비만수술의 비만 암 예방효과 비교

  1세대 비만 치료제 삭센다(리라클루티드)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수용체 작용제(GLP-1RA)가 비만 수술과 비교해 비만 관련 암 예방 효과가 41%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클랄릿 헬스 서비스 야엘 울프 사기 박사팀은 13일 의학 저널 e클리니컬메디신(eClinicalMedicine)에서 GLP-1RA 치료 환자와 비만 수술 환자 간 비만 관련 암 발생률 비교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기 박사는 "이 연구는 비만 수술의 체중 감량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GLP-1RA 치료가 비만 관련 암을 예방하는 데 41%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1세대 GLP-1RA에는 리라글루티드(당뇨 치료제 빅토자, 비만 치료제 삭센다)와 엑세나티드(당뇨 치료제 바이에타), 2세대 GLP-1RA에는 세마글루티드(당뇨치료제 오젬픽,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있고, 티르제파티드(당뇨 치료제 마운자로,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는 차세대 약물로 분류된다.

 연구팀은 1세대 GLP-1RA와 비만 수술은 확립된 체중 감량 치료법이지만 어느 것이 비만 관련 암 예방에 더 효과적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에서 암 병력이 없는 비만(BMI 35㎏/㎡ 이상) 및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최소 6개월 이상 1세대 GLP-1RA 치료를 받거나 비만 수술을 받은 6천356명(평균 연령 52세, 평균 BMI 41.5㎏/㎡)의  비만 관련 암 발생 위험을 7.5년간 비교했다.

 추적 기간에 298명이 비만 관련 암 진단을 받았고, 폐경 후 유방암이 77명(26%), 대장암 49명(16%), 자궁암 45명(15%) 등이었다. 비만 수술 그룹에서는 3천178명 중 150명(1천인 년당 5.76건), GLP-1RA 치료 그룹에서는 6천178명 중 148명(1천인 년당 5.64건)이 비만 관련 암에 걸렸다.

 추적 기간 참가자들의 최대 BMI 변화율을 반영해 치료 후 체중 감량으로 인해 줄어드는 암 위험 감소를 넘어서는 암 예방 효과를 비교한 결과 GLP-1RA는 체중 감량 외에도 비만 관련 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비만 수술보다 41%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교신저자 겸 공동 제1 저자인 사기 박사는 "아직 GLP-1RA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며 "이 연구는 체중 감량만으로는 이런 약물이 제공하는 대사적, 항암적, 그리고 다른 여러 이점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공동 제1 저자인 텔아비브대 드로르 디커 교수는 "GLP-1RA의 비만 관련 암 보호 효과 메커니즘은 염증 감소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중 감량 효과가 더 큰 2세대·차세대 GLP-1RA가 비만 관련 암 위험을 더 줄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이런 약물이 비만과 관련 없는 다른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eClinicalMedicine, Yael Wolff Sagy et al.,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compared with bariatric metabolic surgery and the risk of obesity-related cancer: an observational, retrospective cohort study', https://doi.org/10. 1016/j.eclinm.2025. 10321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