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금연지원센터 10年…23만명 등록해 5만6천명 금연 성공

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12일 제주서 센터 사업 성과대회

 보건복지부는 지역금연지원센터 출범 후 10년 동안 센터에 등록한 약 23만명 중 5만6천여명이 금연(6개월 성공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역금연지원센터는 금연 지원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중증·고도 흡연자의 금연을 돕고자 2015년 출범했다.

 전문 치료형 금연 캠프, 입원 환자 금연 지원 서비스, 생활터 금연 환경 조성 사업 등을 맡아왔다.

 복지부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함께 지난 12일 제주에서 2024년도 지역금연지원센터 사업 성과대회를 열고 그간의 운영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 중 전남금연지원센터(화순전남대병원)는 공공기관 금연 연계·협력 체계를 확대하고, 입원 환자 질환·특성에 따른 금연 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해 금연 성공률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정혜은 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지역금연지원센터가 지역 기반 금연 사업의 핵심 주체로서 지속해서 성장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표] 전국 지역금연지원센터

 

명칭 기관명 대표번호
서울금연지원센터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02-592-9030
부산금연지원센터 부산대병원 051-242-9030
대구금연지원센터 영남대병원 053-623-9030
인천금연지원센터 인하대병원 032-451-9030
광주금연지원센터 조선대병원 062-222-9030
대전·세종금연지원센터 충남대 산학협력단 042-580-9030
울산금연지원센터 울산대 산학협력단 052-233-9030
경기남부금연지원센터 한림대 산학협력단 031-385-9030
경기북부금연지원센터 국립암센터 031-924-9030
강원금연지원센터 연세대 미래의료산학협력단 033-746-9030
충북금연지원센터 충북대 산학협력단 043-278-9030
충남금연지원센터 순천향대 산학협력단 041-577-9030
전북금연지원센터 원광대병원 1833-9030
전남금연지원센터 화순전남대병원 061-372-9030
경북금연지원센터 경상북도 안동의료원 080-888-9030
경남금연지원센터 경상국립대 산학협력단 055-759-9030
제주금연지원센터 연강병원 064-758-903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약품 동물실험 대안찾기 본격화…정부, 기술개발 지원
첨단 바이오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거치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와 합동으로 '첨단 바이오의 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유관 부처·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첨단 바이오 의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 범부처 성과 확산 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서 생명윤리 논란이 커지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국내 기술 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동물에 약물을 투여해 독성과 효능을 확인하는 비임상 동물 실험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생명윤리 차원의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동물과 사람 간 생물학적 차이로 인한 실패 가능성 문제도 꾸준히 거론됐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미세 생리 시스템 구축, 검증용 원천 기술 개발, 비임상 평가 플랫폼 소재·부품·소프트웨어 및 분석 장비 국산화 등 대체 시험법에 적용할 원천 기술부터 핵심 소재·부품·장비 개발 등 전주기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세 생리 시스템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인공 장기 '오가노이드'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동물실험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이런 현상은 더 확산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오가노이드 기업 여러 곳을 협업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오가노이드 활용 병행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전임상 시험 등에 필요한 동물실험을 한꺼번에 폐지하지는 않더라도 오가노이드를 투입해 이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취지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이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기업 미국 템퍼스AI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신약을 개발한다. 템퍼스AI는 실제 암 환자 종양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공하고, JW중외제약은 이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회사가 총괄하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이 과제를 통해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상용화까지 추진하는 게 대웅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