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게임으로 자폐청소년 사회성 개선…디지털치료 효과확인"

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대구가톨릭대의료원 공동연구팀

  모바일 게임 형태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나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모바일 게임으로 만든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11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대구가톨릭대의료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또는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진단받은 10∼18세 청소년 38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모바일 게임 훈련은 뉴다이브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개발한 'NDTx-0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주로 접하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하듯 임무를 수행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예컨대 친구와의 첫 만남을 가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반응을 선택하게 해 대화를 이어가는 식이다.

 연구 결과 6주 후 모바일 게임 훈련을 병행한 치료그룹의 사회적 적응능력, 일상생활 능력 등 전반적인 사회성이 기존 치료그룹보다 더 많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의사소통, 일상생활 수행, 사회성 등을 종합한 적응행동조합(Adaptive Behavior Composite) 평가에서 모바일 게임을 병행한 치료그룹의 점수는 5.89점 증가했고, 기존 치료그룹은 1.21점 높아지는 데 그쳤다.

 사회성을 별도 평가한 결과에서도 모바일 게임 병행 치료그룹은 6.05점 상승했으나, 기존 치료그룹은 0.42점 올랐다.

 정유숙 교수는 "게임 자체에 대한 흥미를 기반으로 훈련에 몰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더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대면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더욱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일본의 정신신경학회 학술지(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연합뉴스) 적응행동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모바일 게임을 병행하여 치료 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등 개선 효과가 뚜렷했다. 2025.06.16. [삼성서울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