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9일 조간)

▲ 경향신문 = 한·일 수교 60년, 차이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는 관계 돼야

이제야 나온 김건희 주가조작 증거, 부실수사도 다 밝혀야

서울대의 '한국판 천인계획' 제안, 정부가 적극 고려해야

'미국의 전쟁' 돼가는 이란 사태… 파장에 선제적 대응을

▲ 동아일보 = 북-러 밀착에 트럼프 변덕까지… 더욱 중요해진 '이웃집 韓日'

특검 뜨니 "김건희 육성 파일 확보"… 檢, 4년간 뭐 하다가

이종석 "간첩법 개정 필요"… '기술 스파이 처벌'도 명확히 해야

▲ 서울신문 = 협력 약속한 한일 정상… 이젠 "작은 차이"도 극복해야

받아도 걱정인 민생지원금… 정부, '건전재정' 의지 다지길

美 이란 개입, 北 3차 러 파병… 고차방정식 되는 '핵 안보'

▲ 세계일보 = 한·일 정상 셔틀외교 실현해 신뢰 구축 이어가길

당정 20조원대 추경 합의, 구조개혁도 병행해야

김건희 재수사 한 달 만에 증거 확보, 이러니 檢 못 믿는 것

▲ 아시아투데이 = 과거보다 미래…경제협력 강조한 한·일 정상

북한의 러 공병 파견, 유엔 제재위반 중단해야

▲ 조선일보 = 李 "한미일 공조로 지정학 위기 대응" 이 길로 가야

4년간 안 나오다 재수사 한 달 만에 나온 金 녹음 파일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도 인정한 간첩죄 정상화

▲ 중앙일보 = 재수사 한 달 만에 나온 '김건희 녹음'…4년 수사 뭐했나

수교 60주년 앞두고 손잡은 한·일 정상, 이젠 미래로

▲ 한겨레 = 김건희 '도이치' 녹음파일 확보, 검찰 4년 동안 뭐 했나

한·일, 대미 '관세 문제'부터 실질 협력 나서라

김충현 민관협의체, '위험 외주화' 구조적 문제 짚어야

▲ 한국일보 = '미래'로 첫발 뗀 한일 정상, 과거사 문제도 해법 찾길

北의 대러 3차 파병, "지지하지 않아" 수준으론 안 된다

5년 만에 찾은 김건희 '주가조작' 녹취… 검찰의 직무유기다

▲ 글로벌이코노믹 = 최악 불황 종합건설사 폐업공고만 300건

미국 일방주의 독주에 힘 빠진 G7

▲ 대한경제 = 처벌 위주 건설안전 정책, 새 정부에선 발상의 전환 필요

이재명 정부 인사청문회, '통과의례' 그쳐선 안돼

▲ 디지털타임스 = 자유진영 일원 분명히 한 李, 성공적 국제무대 데뷔전 치렀다

김건희 특검 본격화… 결코 한 점 의혹도 남겨선 안된다

▲ 매일경제 = 셔틀외교 복원 약속한 한일정상, 경협도 속도 내야

늦어도 한참 늦은 추경…이제라도 신속 집행을

北, 러에 6천명 추가 파병…韓美공조로 밀착 저지해야

▲ 브릿지경제 = 유통가도 내수경제 회복의 주체다

▲ 서울경제 = 中 메모리 점유율 2배 급증…전략산업 맹추격 경계해야

北 러에 추가 파병 … 대화 모색보다 북러 밀착 차단에 주력할 때

李, 여야 원내대표 초청 …말 아닌 협치·통합으로 정치 복원해야

▲ 이데일리 = AI인재 유출입 OECD 바닥권, '3강 도약' 이룰 수 있나

北 6000명 러 추가 파병, 새 정부 예사로 볼 일 아니다

▲ 이투데이 = 중동발 '유가·환율' 요동…설상가상 경제 쇼크 대책 세워야

▲ 전자신문 = 전기차 '대세' 시간문제다

▲ 파이낸셜뉴스 = 한일 협력 공고히 다져 미래로 함께 나아가야

LG의 리쇼어링, 주력산업 투자에 전폭 지원을

▲ 한국경제 = 자본잠식 KDB생명에 또 국민 세금 넣겠다니…

1·2차 합쳐 35조 '슈퍼 추경' … 재정지출 구조조정도 병행해야

하청노조의 원청 교섭 요구, 노란봉투법 폐해가 이런 것

▲ 경북신문 = 의혹에 휘말린 총리 후보자… 해명에 진땀

▲ 경북일보 = 신설되는 기후에너지부, 기대보다 우려 앞선다

▲ 대경일보 = 항공마일리지의 통합안

양질의 노인일자리 확보 시급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