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의료공백에 상급병원서 '회송' 22%↑…회송료 75% 급증

2023년 상급종합병원 경증환자 비중 40%…"회송환자 추적 관리해야"

 의정 갈등으로 의료 공백이 발생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 이하 1·2차 병원으로 회송한 환자가 1년 전보다 2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급종합병원 47곳에서 진료협력병원 등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보낸 환자 수는 80만6천명이다.

 회송 환자 수는 1년 전(66만명)보다 22.1% 늘었다.

 이 기간 병원이 환자를 보내고 심평원에 청구한 회송료는 416억5천만원에서 726억8천만원으로 74.5% 급증했다.

 전년 대비 회송 청구 건수와 진료 금액 증가 폭은 각각 지난해가 최근 4년 중 가장 컸다.

 정부는 지난해 의정 갈등이 본격화한 뒤 대형병원이 중증·응급환자 진료에 집중하도록 회송에 대해 보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증 환자들을 비교적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보낸 사례가 늘었지만, 실제 상급종합병원에서 경증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줄었을지는 미지수다.

 한 차례 회송된 환자들이 다시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사례도 많기 때문이다.

 2023년 현재 상급종합병원 45곳의 입원환자 진료비 12조8천억원 가운데 일반·단순 질환으로 구분되는 경증 환자들의 진료비(5조1천억원)가 40%를 차지했다.

 김미애 의원은 "양적 회송 실적만으로는 지역 의료 전달체계가 작동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회송된 환자의 추적 관리, 경증 질환자의 상급병원 이용 억제책, 1·2차 의료기관의 수용 능력 제고 등이 종합적으로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산모 혈액으로 태아 기형아 검사 비용, 병의원별로 30만~85만원 천차만별
산모의 혈액으로 태아의 유전 이상을 확인하는 기형아 검사인 니프티(NIPT·비침습적 산전 검사) 비용이 병의원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검사여서 병원이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인데, 비용 부담이 수십만원에 이르는 만큼 미리 가격을 비교해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급여 진료비 정보' 누리집에 따르면 17개 광역 시도의 니프티 평균 금액은 56만5천원∼78만9천원이다. 전북이 가장 저렴하고 울산이 가장 비쌌다. 서울의 평균 검사 비용은 61만8천원이었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병의원에 따라 비용 차가 컸다. 서울의 경우 대체로 적게는 30만원에서 많게는 85만원의 비용(국외 검사 등 일부 제외)을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검사 항목(기본형·확장형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른 여러 상품을 제공하는 곳이 많았지만, 단일 가격의 상품 하나만 제공하는 병의원도 적잖았다. 또 분석 의뢰 기관과 검사 항목 수가 같은데도 병의원에 따라 가격 차가 20만원 안팎으로 벌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서울 노원구의 한 병원에선 GC지놈의 G-NIPT 검사가 60만원이었지만, 서초구의 한 의원에선 같은 검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