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의료공백에 상급병원서 '회송' 22%↑…회송료 75% 급증

2023년 상급종합병원 경증환자 비중 40%…"회송환자 추적 관리해야"

 의정 갈등으로 의료 공백이 발생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 이하 1·2차 병원으로 회송한 환자가 1년 전보다 2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급종합병원 47곳에서 진료협력병원 등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보낸 환자 수는 80만6천명이다.

 회송 환자 수는 1년 전(66만명)보다 22.1% 늘었다.

 이 기간 병원이 환자를 보내고 심평원에 청구한 회송료는 416억5천만원에서 726억8천만원으로 74.5% 급증했다.

 전년 대비 회송 청구 건수와 진료 금액 증가 폭은 각각 지난해가 최근 4년 중 가장 컸다.

 정부는 지난해 의정 갈등이 본격화한 뒤 대형병원이 중증·응급환자 진료에 집중하도록 회송에 대해 보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증 환자들을 비교적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보낸 사례가 늘었지만, 실제 상급종합병원에서 경증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줄었을지는 미지수다.

 한 차례 회송된 환자들이 다시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사례도 많기 때문이다.

 2023년 현재 상급종합병원 45곳의 입원환자 진료비 12조8천억원 가운데 일반·단순 질환으로 구분되는 경증 환자들의 진료비(5조1천억원)가 40%를 차지했다.

 김미애 의원은 "양적 회송 실적만으로는 지역 의료 전달체계가 작동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회송된 환자의 추적 관리, 경증 질환자의 상급병원 이용 억제책, 1·2차 의료기관의 수용 능력 제고 등이 종합적으로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