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무릎 모양으로 부상에 더 취약한 청소년 선별 가능"

서울대 소아정형외과·美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등 연구
"정강뼈 관절면 경사 가파르면 인대 파열 등 부상 위험 커"

 청소년들이 운동하다가 무릎이 다쳤을 때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지, 경골극(脛骨棘)이 골절될지는 타고난 무릎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와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및 경골극 연구팀은 2009년 3월∼2023년 4월 내원한 18세 미만 환자 159명을 연구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각 53명씩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경골극 골절군, 정상군으로 나누고,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14개 해부학적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무릎이 손상된 두 비교군은 정상군보다 경골(정강뼈)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유의미하게 가팔랐다.

 또 이 부위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경골극 골절 위험이 각각 1.42배, 1.3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경골극 골절 모두 도약 후 착지할 때, 혹은 급정지하거나 급히 방향을 전 환할 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말 그대로 인대가 '뚝' 하는 소리를 내며 찢어지는 부상이다.

 경골극 골절은 전방십자인대가 인대에 붙은 무릎뼈(경골극)를 잡아당겨 떨어져 나가는 부상이다.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심할수록 무릎에 무게가 실릴 때 대퇴골(허벅지뼈)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십자인대가 과부하로 파열되거나 경골극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대퇴과간 절흔 폭(무릎뼈 사이 공간)은 전방십자인대 파열군에서만 연관성이 뚜렷했다.

 이 폭이 넓을수록 파열 위험이 줄었는데, 대퇴과간 절흔 폭이 넓을수록 전방십자인대가 대퇴골과 덜 충돌하기 때문이다.위험인자 분포도

 

이에 더해 연구팀이 위험 인자를 분석한 결과,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3.2도를 넘고, 대퇴과간 절흔 폭이 24% 이하인 환자는 2명 중 1명(52%)꼴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절면 경사가 가파르고, 절흔 폭이 좁을수록 부상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무릎 손상에 더 취약한 소아·청소년을 선별해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신창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활용해 전방십자인대 파열, 경골극 골절의 해부학적 차이를 정밀하게 비교 분석한 세계 최초의 연구"라며 "성장판이 열려있는 아이들은 수술을 통해 무릎 구조를 비교적 쉽게 교정할 수 있는데,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수술을 통한 무릎 손상 예방 가능성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스포츠의학회지(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최근호에 실렸다.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