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 10년새 43.9% 늘었는데 생존율 '제자리걸음'

백혜련 의원 "방광암을 비롯한 고령암 특별관리 체계 필요"

  노인성 암으로 꼽히는 방광암이 고령화 추세와 맞물려 10년 새 40% 넘게 늘었지만, 생존율은 개선되지 않고 있어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혜련 의원이 국립암센터로부터 최근 제출받은 '2024 국가암등록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방광암 환자 수는 2012년 3천655명에서 2022년 5천261명으로 10년 새 43.9% 증가했다.

 방광암은 비뇨기계에서는 가장 흔한 암으로, 주로 남성과 60세 이상 노인 환자가 많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남성 환자의 연령대를 보면 60세 이상이 전체의 77.6%를 차지한다.

 생존율 개선은 더딘 편이다.

 방광암의 5년 상대생존율(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은 2006∼2010년 77.2%, 2018∼2022년 77.8%로 이 기간 사실상 변화가 없었다.

 같은 기간 전체 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65.5%에서 72.9%로, 폐암은 20.3%에서 40.3%로 크게 향상됐다.

 반면 방광암의 생존율은 여전히 제자리에 머무르고 있고, 국가암검진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아 조기에 발견하기조차 어렵다는 게 의원실의 지적이다.

 백혜련 의원은 "방광암은 환자는 늘고 있는데 생존율은 20년 가까이 제자리걸음인 대표적 노인성 암"이라며 "앞으로의 암관리종합계획에는 방광암을 비롯한 고령암 특별관리 체계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 최근 10년(2012~2022) 연도별 방광암 발생 현황(단위:명)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3,655 3,908 4,106 4,166 4,491 4,528 4,756 5,019 4,888 5,279 5,261
남성 2,941 3,141 3,313 3,349 3,597 3,646 3,798 4,089 3,939 4,290 4,197
여성 714 767 793 817 894 882 958 930 949 989 1,064

 

※ 국립암센터 제공. 백혜련 의원실 재가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