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성모병원 연구팀 '응급 뇌졸중 환자 진료 지침' 개발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은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 연구팀이 응급 뇌졸중 환자의 초기 치료 과정을 표준화한 진료 지침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개발 과정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는 대한신경외과학회 공식 학술지(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에 논문 3편으로 발표됐다.

 연구 주제는 뇌졸중 의심 환자 선별 도구의 효과, 급성 뇌경색 환자의 기계적 혈전 제거술 시행을 위한 병원 이송 기준, 급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초기 뇌동맥류 치료 방안 등이다.

 이번 연구는 이형진·김훈·김영우 가톨릭대 교수가 공동 참여하고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대한뇌혈관수술학회, 대한응급의학회, 뇌졸중 치료 전문의 등이 협력해 진행됐다.

 특히 이 지침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과 협업으로 완성돼 진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환자, 보호자, 의료진 모두 참고할 수 있는 안내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오 교수는 "응급 뇌졸중 치료는 시간과의 싸움인 만큼 표준화된 지침은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전경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병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인 이 검사들의 신뢰도를 위협하는 수십 년 묵은 관행에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검사를 의뢰하는 동네 병의원과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센터 사이의 비정상적인 비용 정산 구조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해묵은 관행 개선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논란이 돼온 검체검사 위탁검사관리료(이하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병의원)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이르면 다음 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문제의 핵심은 병의원과 검사센터 간의 고질적인 비용 정산 관행이다. 현재 건강보험은 혈액검사 등에 드는 비용(검사료)의 110%를 검사를 의뢰한 병의원에 지급한다. 병의원은 이 중 10%의 관리료를 제외한 100%를 검사를 진행한 검사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검사센터가 병의원과의 계약을 위해 이 검사료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