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백혈병, '남은 암세포' 검출해 맞춤 치료…생존율 90%로

서울아산병원, 미세잔존질환 수치에 따라 환자별 항암 강도 조정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혈액암인 소아급성림프모구백혈병(ALL)은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크게 높아졌지만, 일부 환자는 겉으론 완치된 듯 보여도 몸 안에 극소량의 암세포가 남는 '미세잔존질환'(MRD)으로 인해 재발 위험이 크다.

 과거에는 미세잔존질환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골수 검사 시 체내에 남아있는 암세포 수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맞춤형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역시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김혜리 교수 연구팀은 2013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이 병원에서 치료받은 소아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 212명을 분석한 결과, 미세잔존질환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항암 치료 강도를 높였을 때 생존율이 90%로 향상됐다고  밝혔다.

 1차 치료 후 미세잔존질환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는 21명이었고, 이 중 12명에게 한 단계 강화된 치료를 적용했다.

 그 결과 이들에게서 5년간 병이 진행하거나 재발하지 않은 채 생존하는 '5년 무사건 생존율'은 90%로, 치료 강도를 높이지 않은 환자들의 19%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2차 치료 후 미세잔존질환 양성이었던 환자들 역시 치료 강도를 높일 경우 생존율은 95.2%에 달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엔 75.4%였다.

 김혜리 교수는 "미세잔존질환 수치를 기준으로 환자에 맞춰 치료 강도를 조정하면 재발 위험이 높은 소아 백혈병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블러드 리서치'(Blood Research)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