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충원율 서울 70% vs 강원 52%…'빅5' 병원은 74%

전국 기준 정원 대비 64.8%…"지역·필수의료 강화대책 시급"

 사직 전공의들이 이달 초 대거 복귀한 가운데 시도별 전공의 충원율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 수련병원의 전공의는 모두 1만305명으로, 수련병원별로 결정된 올해 전공의 정원(1만5천925명)의 64.7%에 해당한다.

 기존 전공의 2천321명에 하반기 모집을 통해 돌아온 사직 전공의 등 7천984명을 더한 숫자다.

 올해 정원 대비 전공의 충원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서울의 경우 정원 7천261명 중 70.4%인 5천111명이 채워져 17개 시도 가운데 충원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69.0%), 경기(64.5%), 울산(64.0%)도 충원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제공]

 반면 세종은 정원 9명 중 4명만 채워졌으며, 강원도 정원 468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244명(52.1%)만 채워진 상태다.

 대구(54.9%)와 충북(55.9%)의 충원율도 저조했다.

 의정 갈등 사태 이전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공의 충원율에 격차가 있었는데,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도 수도권에서 더 활발하게 이뤄진 탓에 격차가 더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복지부가 밝힌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보면 수도권 병원은 모집인원의 63.0%를, 비수도권 병원은 모집인원의 53.5%를 이번에 선발했다.

 한편 서울 시내 5대 대형병원인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이른바 '빅5'의 전공의 숫자는 2천809명으로 늘어났다.

 기존에 수련 중이던 629명에 이번 하반기 모집에서 선발된 2천180명이 더해진 것으로, 올해 정원(3천800명) 대비 73.9%다.

 빅5 병원의 경우 이번 하반기 모집을 통해 의정 갈등 이전(3천563명)의 78.8% 수준으로 전공의 숫자가 회복됐다.

 김선민 의원은 "전공의들이 복귀했지만, 예상했던 것처럼 서울 빅5 대형병원으로 쏠림과 지역 간 복귀율의 상당한 격차가 확인됐다"며 "의료체계를 온전히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지역·필수의료 강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