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울면 바로 달래야 할까?…"달래는 방식이 속도보다 중요"

영·독 연구팀 "달래는 속도보다 방식이 아기의 감정 회복에 더 큰 영향"

 아기 울음에 대한 엄마의 반응은 초기 정서 발달에 핵심 요소로 꼽힌다.

 아기가 울면 가능한 한 빨리 달래는 게 좋다는 통념과 달리 달래는 방식이 속도보다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더럼대 자나 클레이 교수와 독일 라이프니츠 교육연구·정보연구소(DIPF)의 카를로 프레덴 박사팀은 최근 미국심리학회(APA) 학술지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에서 영국 도시 지역과 우간다 농촌 지역에서 엄마와 아기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연구에서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아기가 울 때 엄마가 어떻게 달래는지 관찰한 결과 영국 엄마들이 더 빠르게 달랬지만 회복되는 속도는 우간다 아기들이 더 빨랐다며 이는 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된 달래기 행동의 유형이 아기 감정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서구 산업화 사회 밖의 엄마들이 아기의 정서적 신호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라며 이 연구에서 영국과 우간다의 엄마와 아기를 대상으로 엄마의 반응성과 그것이 아기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실험 환경이 아닌 일상에서 생후 6개월 된 82쌍의 엄마와 아기를 촬영한 영상을 활용해 아기가 울거나 칭얼대는 것으로 불편함을 표현할 때 엄마의 반응과 달래는 행동, 아기가 회복되는 과정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우는 아기에 대한 영국 도시 엄마들과 우간다 시골 엄마들의 반응 속도, 달래는 방법, 아기들의 진정 속도 등에서 모두 차이가 관찰됐다.

 영국 엄마들은 아기가 울면 매우 신속하게 달래기 시작했으나 우간다 엄마들은 상대적으로 반응이 느렸다.

 아기 달랠 때 영국 엄마들은 생후 3개월에는 주로 모유 수유 등 신체 접촉을 사용했지만 성장함에 따라 신체 접촉이 줄고 말로 달래는 방식이 늘었다.

 하지만 우간다 엄마들은 아기 나이와 관계 없이 모유 수유 중심의 신체 접촉에 의존했다.

 그러나 아기들의 회복 속도는 엄마들의 반응 속도가 빠른 영국의 아기들보다 엄마들의 반응은 느리지만 신체 접촉을 주로 사용한 우간다 아기들이 더 빨랐다.

 연구팀은 주목할 점은 반응이 느린 우간다 엄마들이 신체 접촉 방법으로 아기들의 더 빠른 회복을 끌어냈다는 것이라며 이는 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된 달래는 방식이 아기의 회복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프레덴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엄마가 아기를 신속하게 달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엄마의 반응 방식 그 효과가 문화마다 의미 있게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서로 다른 아기 돌봄 전략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복잡성을 보여준다"며 "서구의 '최적 양육' 개념이 다른 환경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Developmental Psychology, Zanna Clay et al., 'Maternal Responsiveness to Infant Distress: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in Uganda and the United Kingdom', https://doi.org/10.1037/dev000203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실제 인체 신장의 배관망 구조와 기능을 더 정밀하게 모사한 미니 인공 신장이 나왔다. 1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가 포항공대(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팀과 함께 신장의 연결 구조와 세포 기능을 재현한 미니 인공 신장(신장 오가노이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의 신장은 정화 장치인 네프론 약 100만개로 이뤄져 있다. 네프론 속을 흐르는 세관은 집합관으로 연결돼 노폐물이 배출되는데, 지금까지 실험실에서 만든 오가노이드에는 이 집합관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빠져 있었다. 또 네프론 안 세포들도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실제 신장의 기능을 하기 힘들었다. 연구진은 배양 과정에서 저산소 환경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배아가 실제로 발달하는 환경은 산소가 풍부하지 않다. 연구진이 이 같은 환경을 모사하자 역분화줄기세포가 네프론 세포뿐만 아니라 집합관으로 이어지는 세포까지 함께 만들어냈다. 이 두 계열 세포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성장하면서 여러 네프론이 집합관 유사 구조에 연결된 실제 신장과 가까운 네트워크가 형성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결과 세포 구성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