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용 방사선 업무 종사자 피폭선량, 1년 전보다 2.7% 감소

방사선사 > 의사 > 간호조무사 순…"보호 기구 잘 착용해야"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관리·운영·조작 등 업무에 종사하는 개인들의 방사선 노출량이 전년보다 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최근 발간한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11만3천610명이며, 이들의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36mSv(밀리시버트)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종사자 수는 10만9천884명에서 3.4% 늘고, 1인당 피폭선량은 0.37mSv에서 2.7% 감소했다.

 법령에 따른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유효선량 한도는 연간 50mSv, 5년간 누적 100mSv다.

 지난해 피폭선량을 직종별로 보면 방사선사가 0.73mSv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의사(0.25mSv), 간호조무사(0.22mSv), 치과의사(0.18mSv), 업무보조원(0.16mSv), 치과위생사(0.15mSv), 간호사(0.13mSv) 등의 순이었다.

 피폭선량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증가했는데, 20대 방사선사의 피폭선량이 1.25mSv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은 "방사선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하지만 불필요한 과다 노출은 암 발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개인 피폭 선량계와 방사선 방어 앞치마 등의 기구를 올바르게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매입 7천억원으로 확대 추진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는 주주들과 약속한 셀트리온 주식 매입 규모를 당초 5천억원대에서 7천억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계획을 밝히고, 이달 말까지 약 4천억원 매입을 진행 중이다. 이후 셀트리온은 바로 약 2천88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매입이 끝나면 홀딩스가 지난 5월 취득한 약 1천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포함해 올해만 총 8천억원이 넘는 셀트리온 주식을 취득하게 된다. 홀딩스 관계자는 셀트리온의 주식 저평가가 지속될 경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1조까지 주식 매입 확대를 검토하겠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이 건실한 사업 펀더멘털에도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을 진행하면서 단기 원가율 상승 및 무형자산 상각 등으로 영업이익의 일시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보고 주주가치 제고와 셀트리온 저평가 최소화를 위해 주식 장내 매입을 지속해 왔다. 앞서 셀트리온은 올해 약 9차례에 걸쳐 총 8천5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소각 규모도 올해만 약 9천억원에 이른다. 그룹 최고수장인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