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치료기관 3곳에 중독자 80% 쏠려…13곳은 1년여간 실적 0건

"복지부, 중독자 편중 원인 파악하고 개선책 마련해야"

 마약이나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등 마약류에 중독된 이들을 치료보호하는 의료기관 3곳에 전체 보호 실적의 80%가 쏠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이런 쏠림 현상이 조금씩 완화하고는 있으나 1년 넘게 치료보호 실적이 한 건도 없는 곳이 전체 기관의 40%나 됐다.

 9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예산정책처에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 중 상위 3곳에서 치료보호한 중독자는 모두 705명이었다.

 병원별로 보면 인천의 참사랑병원이 지난해 509명의 중독자를 받았다.

 국립부곡병원에서는 170명, 대구 대동병원에서는 55명의 중독자를 치료보호했다.

 전체 치료보호 실적 중 이들 3곳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3년 93.8%에서 지난해 하락했고, 올해는 6월 기준 59.7%로 내렸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치료보호 실적이 0건인 기관은 공공기관인 국립춘천병원, 광주시립정신병원, 경기도의료원의정부병원 등을 포함해 모두 13곳이나 된다.

 중독자가 늘고 있는데도 전체 기관의 40%가 1년 넘는 기간 보호한 중독자가 1명도 없는 셈이다.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은 마약류 사용자의 중독 여부를 판별하거나 중독자로 판명된 사람을 치료보호하는 의료기관이다.

 검사나 교정시설장이 중독 판별 검사나 치료보호를 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혹은 중독자 본인이나 가족,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면 중앙 또는 지방치료보호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치료보호기관으로 가게 된다.

 관련법에 따르면 복지부 장관이나 시도 지사가 치료보호기관을 설치·운영하거나 지정할 수 있다.

 경기도에 7곳, 전북에 3곳 등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 치료보호기관이 분포해 있지만, 중독자는 소수 의료기관에만 쏠린다.

 예산정책처는 "치료보호기관 중 상당수는 실적이 거의 없고 소수 기관에 실적이 집중되고 있으므로 복지부는 편중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마약류 중독자들은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 한 번 길이 뚫린 곳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며 "정부가 2024년부터 권역 치료보호기관을 지정하고, 우수 치료보호기관에 성과보상금과 환경개선비도 주면서 쏠림 현상이 완화하고는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마약류 중독자 치료 지원 등에 관한 내년도 예산을 올해 본 예산 대비 6억3천만원 늘려 32억600만원으로 편성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흔히 먹는 당뇨약이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흔히 쓰는 당뇨병 치료제가 파킨슨병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필휴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승호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김연주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먹는 형태의 당뇨병 치료제인 DPP-4 억제제가 장내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 축적을 차단해 발병과 진행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은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여 발생한다. 뇌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이는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최근에는 해당 단백질 응집체가 장에서 시작해 미주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한다는 '장-뇌 연결 축' 가설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이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혈당을 낮추는 것 외에도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를 손상하는 로테논을 실험용 마우스에 투여해 파킨슨병을 유발했다. 마우스를 로테논에 지속해서 노출하면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가 장-뇌 연결 축을 따라 이동하고 6개월 이후에는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과 함께 떨림, 경직 등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마우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