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가 옮기는 SFTS 환자 올해 220명…5년 만에 최다

치료제 없고 치명률 18.5%…"11월에도 야외서 진드기 조심"

 진드기가 옮기는 감염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수가 올해 200명을 훌쩍 넘기며 2020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9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전국에서 신고된 SFTS 환자는 모두 220명(잠정)이다.

 지난해 전체 환자 수 170명을 이미 넘어섰고, 2020년(243명)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다.

 국내에선 201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지난해까지 총 2천65명의 환자가 나왔고, 이중 381명이 사망해 사망률이 18.5%에 이른다.

 가장 환자가 많았던 해는 2017년으로 272명의 환자가 신고됐으며, 2021년 이후엔 200명 미만의 환자가 보고됐다.

 통상 4월부터 환자가 나오기 시작해 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11월까지도 이어지기 때문에 올해도 환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

 전년 대비 올해 SFTS 환자가 증가한 것을 두고 질병청 관계자는 "여러모로 분석을 해봤는데 기후 요인 등에 따른 매개체 개체 수엔 큰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며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SFTS 환자의 상당수는 논·밭 작업을 하다가 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고령 환자가 많아 올해도 220명 중 128명(58.2%)이 70세 이상이다.

 농어촌 지역에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이 늘면서 외국인 감염 사례도 잇따르자 질병청은 최근 SFTS 예방을 위한 다국어 홍보물을 제작하기도 했다.

 한편 또다른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쯔쯔가무시증은 올해 들어 지금까지 619명의 환자가 나왔다.

 쯔쯔가무시증을 옮기는 털진드기는 기온 10∼15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10월과 11월에 환자가 집중된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야외활동 시에 긴 양말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풀밭에 바로 앉거나 옷을 벗어두는 대신 돗자리를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한 돗자리를 세척해 햇볕에 말리는 게 좋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흔히 먹는 당뇨약이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흔히 쓰는 당뇨병 치료제가 파킨슨병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필휴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승호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김연주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먹는 형태의 당뇨병 치료제인 DPP-4 억제제가 장내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 축적을 차단해 발병과 진행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은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여 발생한다. 뇌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이는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최근에는 해당 단백질 응집체가 장에서 시작해 미주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한다는 '장-뇌 연결 축' 가설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이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혈당을 낮추는 것 외에도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를 손상하는 로테논을 실험용 마우스에 투여해 파킨슨병을 유발했다. 마우스를 로테논에 지속해서 노출하면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가 장-뇌 연결 축을 따라 이동하고 6개월 이후에는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과 함께 떨림, 경직 등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마우스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