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담배 2~5개비만 피워도 사망 위험 60% 증가"

美 연구팀 "심혈관질환·사망 위험 줄이려면 절연보다 금연해야"

 하루 흡연량이 2~5개비 정도로 적어도 장기적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60%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량이 하루 11~20개인 경우에는 사망 위험이 13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마이클 블라하 교수팀은 19일 의학 저널 플로스 메디신(PLOS Medicine)에서 32만여명을 대상으로 흡연 영향을 장기 추적한 22개 연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흡연량이 적어도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자에게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 메시지는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일찍 담배를 끊으라는 것이라며 금연은 위험을 즉각적으로 많이 감소시킬 뿐 아니라 위험 감소는 금연 후 20년 이상 지속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오늘날 적은 양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흡연량이 하루 한 갑 이하인 사람도 흡연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위험과 금연의 장기적인 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32만3천826명을 최대 19.9년 동안 추적 관찰한 22개 장기 코호트 연구의 데이터를 이용해 하루 및 연간 흡연량, 금연 기간 등과 심혈관질환 및 그로 인한 사망 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기간 발생 건수는 심근경색(MI)이 1만7천570건, 관상동맥질환(CHD) 3만625건, 심혈관질환(CVD) 5만4천78건, CHD 사망 1만7천429건, CVD 사망 3만3천120건, CHD와 CVD를 포함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12만5천44건 등이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남성은 74%, 여성은 104% 높았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남성은 117%, 여성은 14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량의 경우, 하루 2~5개비를 피우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6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57% 높았다. 이들은 심방세동 위험 26%, 심부전 위험 57% 등 심혈관질환 위험도 높았다.

 하루 흡연량이 11~20개비인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13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위험은 8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연할 경우 첫 10년 동안 모든 질환과 사망의 위험이 가장 크게 감소했으며, 그 이후에도 위험 감소가 지속돼 금연 20년 후에는 현재 흡연자보다 상대적 위험이 8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흡연 관련 연구 중 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중 하나"라며 "흡연은 매우 해로운 행동이고, 아주 적은 흡연량도 심혈관질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매우 적은 양만 피워도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젊은 나이에 금연하는 게 위험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 출처 : PLOS Medicine, Michael Blaha et al.,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status, intensity, and cessation duration with long-term incidence of nine cardiovascular and mortality outcomes: The Cross-Cohort Collaboration (CCC)',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456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산업이 국가 성장동력"…제39회 약의 날 기념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한 약,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내일'을 주제로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제39회 약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등 약업 분야 종사자 약 300명이 참석해 의약품의 공공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사회적 책무를 다짐했다. 국내 제약산업의 수출 기반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격려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윤석근 일성아이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동탑산업훈장, 의약품 유통 질서 및 의약품 안정공급에 기여한 서영호 동부산약품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산업포장이 수여되는 등 의약품 안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게 총 43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 부대행사로 의약품 안전 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을 주제로 한 세미나 등이 개최됐다. 약 바르게 알기 교육 등을 주제로 총 8개 기관이 전시 부스도 운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면 축사에서 "이제는 진정한 글로벌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뛰어난 연구 인력, 세계적 수준의 제조 기반 등 전 세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공기 흡입 미세플라스틱, 대장 이동 변비 유발 가능성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변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대학교는 바이오소재과학과 BK21사업팀의 황대연 교수 연구팀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윤우빈 박사, 인제대학교 장미란 교수와 공동연구로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흡입이 성인의 변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흔히 일회용 컵,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틸렌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공기 중에 분사해 실험동물에 흡입시킨 후 폐 조직에 침투된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을 통해 대장으로 이동해 만성변비 질환을 유도함을 규명했다. 대장으로 이동한 미세플라스틱은 배변의 지연, 장운동의 억제, 대장 체액운반시스템 이상, 장신경계 기능 저하 등 변비 질환의 주요증상을 유발했고, 대장 조직의 심각한 구조변화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을 직접 꼬리정맥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동일하게 관찰해 실험결과를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을 통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이 이차적으로 이동하는 소화기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변비 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서 미세플라스틱의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부산대 황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