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가기 싫어, 7일 방송에 '슈돌' 설수대 깜짝 출연

KBS 2TV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

오늘(7일) 밤 방송에

‘슈돌’ 설수대 특별 출연

- 꽈당 시안, 비글 자매 설아-수아 출동!

- 5회 워킹맘편에 한다스 직원 자녀로 등장

(미디어온) ‘슈돌’ 설수대가 ‘회사 가기 싫어’에 깜짝 출연한다. 오늘 밤 연기에 첫 도전한 설수대가 장난기 가득한 모습으로 시청자들에게 행복 바이러스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오늘(7일) 밤, KBS 2TV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에서 반가운 얼굴을 만날 수 있다. ‘슈퍼맨이 돌아왔다’ 설아, 수아, 시안이 5회 워킹맘편에 특별 출연하는 것.

지난 4월 7일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설수대가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의 카메오로 출연한 모습이 방송되었다. 드라마에 출연하기 위해 연기 트레이닝을 받기도 한 설수대가 과연 배우로 어떻게 변신했을지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설수대가 촬영장에 등장함과 동시에 현장 배우들과 스태프들의 관심을 독차지했다. 특히 시안이 극중 강백호 역의 배우 김동완과 신화 의자춤을 추기도 하고, 의욕이 앞선 나머지 첫 촬영에서 넘어지는 웃픈 헤프닝도 있었다.

한편 설수대는 촬영 순서를 기다리며 즐겁게 놀다가도 감독의 큐 소리에 진지모드로 배우들의 연기를 바라봐 주변 스태프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드디어 설수대의 촬영 시작되고! 특유의 장난기 가득한 모습이 카메라에 담겼다. 제작진은 “가정의 달을 맞아, 가정에서도 직장에서도 열심히 일하는 ‘워킹맘’을 주제로 다뤘다. 과연 설아, 수아, 시안이 어떤 연기를 펼쳤을지, 귀여운 아이들의 모습을 오늘 방송으로 확인해 달라”고 전했다.

꽈당 시안, 비글 자매 설아-수아의 배우로 첫 데뷔 모습은 오늘(7일) 밤 11시 10분 KBS 2TV ‘회사 가기 싫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
온코닉, 위식도역류질환약 자큐보정 위궤양 적응증 승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억제제'(P-CAB) 기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인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시트르산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위궤양 치료제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제37호 국산신약인 자큐보정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에 이어 위궤양 치료에도 단독 처방이 가능한 복수 적응증 치료제가 됐다. 자큐보정의 위궤양 임상 3상 시험은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종재 교수를 책임연구자로 해 전국 39개 주요 의료기관에서 329명의 위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는 무작위 배정과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피험자에게 자스타프라잔 20㎎ 또는 대조약인 란소프라졸 30㎎을 1일 1회, 4주 또는 8주간 투여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분석했다. 임상 결과, 8주차 내시경 평가 기준 누적 치유율은 자스타프라잔군이 100%를 기록하며 자스타프라잔의 비열등성이 입증됐다. 또한 치료 4주차 시점에서 측정된 삶의 질(QoL) 평가에서 자스타프라잔 투여군은 '불안 및 우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여 전반적인 치료 경험 개선에도 기여할 가능성을 입증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