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안만든다" 공언한 文대통령…차기법무 검증수위 높아질듯

공수처법 국회논의 맞물려 신중히 인선…靑 "후임 발표, 생각보다 늦어질것"
文대통령 '친정체제' 장기화 전망…직접 檢개혁 드라이브 이어갈듯
금주 '전관예우 금지' 반부패협의회서 윤석열 대면…檢 직접겨냥 메시지 주목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후임자 검증은 어느 때보다 엄격한 잣대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안 등 논의에 있어 차기 법무장관 문제가 변수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청와대 녹지원에서 가진 출입기자단 초청행사에서 법무부 장관 후임 인선에 대해 "서두르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패스트트랙으로 가 있는 (법안들도) 입법이 될지 관심사여서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며 "그런 일에 변수를 만들지 않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에는 시기적으로 서두르지 않겠다는 것은 물론, 후임자 검증작업의 강도를 끌어올리겠다는 뜻도 담겨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앞서 22일 시정연설 이후 '공정'을 화두로 내걸고 국정장악력을 높이는 데 힘을 집중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검찰개혁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실질적인 성과를 거둬야 한다는 것이 청와대의 판단이다.

이런 상황에서 만일 조 전 장관의 후임자가 다시 한번 의혹에 휩싸인다면 개혁 동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나아가 공수처 법 등 검찰개혁 법안을 두고 여야가 치열한 힘싸움을 벌이는 상황에서 섣부른 후임자 인선은 자칫 국회의 주도권을 야당 쪽으로 넘겨주는 빌미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생각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조 전 장관이 물러나긴 했지만, 이르면 이번 주 검찰이 조 전 장관을 소환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수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청와대로서는 조 전 장관의 후임자를 둘러싼 '잡음'이 나와서는 안 되는 민감한 시점인 만큼 자연스레 후임자에 대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서 치밀한 검증을 벌일 수밖에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언론이 예상해 온 것보다 꽤 오랜 시간 후임자 선정 작업이 늦춰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문 대통령이 직접 검찰개혁을 일일이 챙기는 이른바 '친정 체제'는 더욱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입법이 필요한 사안의 경우 국회에서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입법이 필수적이지 않고 시행령 개정 등으로 조처를 할 수 있는 사안의 경우 공석인 법무장관을 대신해 김오수 법무차관이 개혁 작업을 지휘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김 차관과 면담을 하면서 "검찰이 강력한 자기정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 직접 보고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문 대통령이 사실상 장관 역할까지 겸하면서 검찰개혁 방안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법무장관이 공석인 지금의 체제로 국회의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지켜볼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에서 검찰개혁 법안 처리 가닥이 잡힐 때까지는 문 대통령이 직접 고강도 검찰개혁 드라이브를 걸면서 개혁 작업을 진두지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31일 '공정사회를 위한 반부패협의회'를 주재키로 해, 검찰개혁에 대한 강력한 시그널을 다시 한번 발신할 수 있으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부패협의회에서는 사법부를 중심으로 한 전관예우 방지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윤석열 검찰총장이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진 만큼, 검찰을 직접 겨냥한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문 대통령이 김 차관에게 '직접보고'를 주문한 검찰의 내부감찰 기능 강화 방안도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심야조사와 부당한 별건수사 금지 등을 담은 '인권보호 수사규칙', 수사 과정이 인권침해를 막는 '형사사건 공개금지에 관한 규정'을 이달 내 제정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와 관련한 논의 진행상황을 점검할 가능성도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