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30일) 주요공시]

 

▲ 대림산업[000210] "미국 크레이튼사 사업부 인수 계약 체결 예정"

▲ "AJ에너지, 우리은행 상대 소송 기각결정에 항소"

▲ 롯데케미칼[011170] USA, 자회사 지분 9천549억원어치 처분

▲ 한진칼[180640], 최대주주 조원태 외 12명으로 변경

▲ '임직원들 횡령 혐의 기소' 리드[197210] 거래정지

▲ 효성티앤씨[298020], 3분기 영업익 922억원…51% 증가

▲ 웅진코웨이[021240], 안지용 단독 대표이사 체계로 변경

▲ 효성중공업[298040], 3분기 영업익 203억원…36% 감소

▲ 네이버[035420] 종속회사 라인페이, 1천607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 효성첨단소재[298050], 3분기 영업익 378억원…18% 증가

▲ GS건설[006360], 경기 광주 고산2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 계약

▲ 두산건설[011160], 3분기 영업익 194억원…55% 증가

▲ 휘닉스소재[050090], 디스플레이 사업부문 영업 정지

▲ 두산인프라코어[042670], 3분기 영업익 1천546억원…19% 감소

▲ 두산인프라코어[042670], 주식예탁증서 싱가포르 거래소 상장 폐지

▲ 대한유화[006650], 3분기 영업익 608억원…30.6% 감소

▲ 한솔제지[213500], 3분기 영업익 301억원…11.5% 감소

▲ SK머티리얼즈[036490], 3분기 영업익 561억원…9.5% 증가

▲ 일동홀딩스[000230], 3분기 영업익 6억원…21.8% 증가

▲ 일동제약[249420], 3분기 영업익 68억원…73% 증가

▲ 삼성중공업[010140] "드릴십 2척 수주 계약 해지"

▲ 두산밥캣[241560], 3분기 영업익 1천104억원…10% 감소

▲ 녹십자[006280] 3분기 영업이익 366억원…30.6% 증가

▲ 세아베스틸[001430], 금속제품 제조판매업체 알코닉코리아 인수

▲ OCI[010060], 3분기 영업손실 564억원…적자 전환

▲ LG전자[066570] 3분기 영업익 7천814억원…작년동기 대비 4.4% 증가

▲ 녹십자엠에스[142280], 3분기 영업손실 11억원…적자 축소

▲ 아모레G[002790], 3분기 영업익 1천205억원…42.3% 증가

▲ 아모레퍼시픽[090430], 3분기 영업익 1천75억원…40.6% 증가

▲ 녹십자랩셀[144510], 3분기 영업손실 7억원…적자 축소

▲ 광진실업[026910] "최대주주, 지분 매각하지 않기로 결정"

▲ 한독[002390], 3분기 영업익 80억원…26% 감소

▲ CJ CGV[079160] 자회사 CJ포디플렉스, 계열사 스크린엑스 흡수합병

▲ 두산퓨얼셀[336260], 400억원 규모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

▲ 이테크건설[016250], 3분기 영업익 71억원…66% 감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