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독도 해상 추락 헬기와 동일기종 닥터헬기 안전점검

경기도는 독도 해상 추락 헬기와 같은 기종인 경기도 응급의료전용 '닥터헬기'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벌이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추락한 헬기는 2016년 도입된 프랑스 유로콥터사의 슈퍼퓨마(SUPERPUMA) EC-225 기종이다.

도는 전날 오전 이재명 지사의 지시로 사고 헬기의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 계통 점검과 운항 인력에 대한 특별 안전교육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닥터헬기는 올해 8월 말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24시간 응급의료활동을 펼쳤다.

도는 정부 방침에 따라 사고 헬기와 같은 기종 운항이 당분간 중단되는 만큼 소방 헬기에 의료진이 탑승하는 형식으로 응급의료활동을 지속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독도 추락 헬기 기체 일부[해경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11시 28분께 경북 울릉군 독도 상공에서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가 추락했다.

헬기에는 환자와 보호자, 소방구조대원 등 7명이 타고 있었다. 군과 해경은 함정과 항공기를 투입해 수색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