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동자 승강기 이용료 가혹"…경기도, 제도개선 앞장

 경기도는 택배를 포함한 배달 노동자에게 아파트 승강기 이용료를 받는 것은 가혹하다는 판단에 따라 전국 광역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현행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14조에는 공용시설물 이용료 부과기준을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일부 아파트 단지는 택배, 우유, 우편물 등을 배달하는 노동자에게 승강기 사용이 빈번하다는 이유를 들어 승강기 이용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도는 '배달을 목적으로 승강기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료를 부과할 수 없다'는 내용의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 건의안을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안건으로 제출하는 등 공론화를 통해 제도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는 배달 목적으로 공동주택 승강기를 사용할 때 이용료를 부과하는 사례가 있는지를 조사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지난달 말 도내 31개 시군 지자체에 보내 구체적인 실태 파악에 나섰다.

앞서 도는 지난해 12월에 이어 올해 6월에도 국토교통부에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을 거듭 건의한 바 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저임금, 고강도, 노동, 교통사고 위험까지 삼중고를 감수하며 생업에 종사하는 배달 노동자에게 엘리베이터 사용료까지 부과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한 처사"라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한편 경기도는 대리운전·퀵서비스·택배기사 등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이동노동자 쉼터를 올해 5곳에서 2021년까지 13곳 이상 설치하고, 정책 수립을 위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이동노동자 통계 조사를 내년에 진행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