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날씨] 겨울 시작하는 '입동'…아침 최저기온 영하 4도

 절기상 겨울의 시작인 입동(立冬)이자 금요일인 8일은 아침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일부 지역이 영하권에 머물겠다.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4∼9도(평년 1∼10도), 낮 최고기온은 12∼19도(평년 13∼19도)로 예보됐다.

파주와 연천 등 경기 일부 지역은 이날 최저기온이 -4도까지 떨어지고, 강원 영서와 충청도, 전북, 경북 등 여러 지역도 영하권에 들겠다. 서울 최저기온은 1도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아침 기온이 전날보다 5∼8도가량 큰 폭으로 떨어져 춥고,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영하의 기온분포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륙지역에는 새벽에 서리가 내리는 곳이 있겠고, 중부내륙과 일부 경상내륙은 얼음이 얼 수 있으니 농작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은 전날부터 이날 아침까지 5∼20㎜ 안팎으로 비가 내리겠다. 높은 산지에선 눈이 내릴 수도 있다.

미세먼지는 대기확산 원활로 전 권역에서 '좋음'∼'보통' 수준으로 예상됐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남해 앞바다에서 0.5∼2.0m, 동해 앞바다에서 0.5∼2.5m 높이로 일겠다. 먼바다의 파고는 서해 1.0∼3.0m, 남해 1.0∼2.5m, 동해 1.0∼3.5m로 예보됐다.

서해상과 동해상, 제주도 남쪽 해상은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어 항해나 조업을 나가는 선박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다음은 8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맑음, 맑음] (1∼14) <0, 0>

▲ 인천 : [맑음, 맑음] (3∼13) <0, 0>

▲ 수원 : [맑음, 맑음] (0∼13) <0, 0>

▲ 춘천 : [맑음, 맑음] (-1∼14) <0, 0>

▲ 강릉 : [구름많음, 맑음] (8∼18) <30, 0>

▲ 청주 : [맑음, 맑음] (2∼14) <0, 0>

▲ 대전 : [맑음, 맑음] (0∼15) <0, 0>

▲ 세종 : [맑음, 맑음] (-3∼15) <0, 0>

▲ 전주 : [맑음, 맑음] (2∼15) <0, 0>

▲ 광주 : [맑음, 맑음] (4∼15) <0, 0>

▲ 대구 : [맑음, 맑음] (4∼17) <0, 0>

▲ 부산 : [맑음, 맑음] (9∼19) <10, 0>

▲ 울산 : [구름많음, 맑음] (7∼19) <20, 0>

▲ 창원 : [맑음, 맑음] (5∼17) <0, 0>

▲ 제주 : [맑음, 맑음] (11∼16) <0,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