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7시간 미만 소아·청소년, 비만 1.7배 높아"

한림대동탄성심병원, 10∼18세 6천명 수면시간 분석

 수면시간이 짧은 소아·청소년의 경우 비만 위험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소아내분비학) 심영석 교수는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10∼18세 6천48명의 수면시간과 비만 위험인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미국수면재단(NSF, National Sleep Foundation)의 권장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매우 짧은 수면시간', '짧은 수면시간', '권장 수면시간', '긴 수면시간' 등 4개 그룹으로 나눴다.

 10∼13세는 7시간 미만으로 잘 경우 매우 짧은 수면시간, 7∼8시간은 짧은 수면시간, 9∼11시간은 권장 수면시간, 11시간 초과는 긴 수면시간에 해당한다. 14∼18세는 이보다 1시간씩 줄어든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했다.

 그 결과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비만과 과체중일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장 수면시간 그룹을 기준으로 했을 때 수면시간이 매우 짧은 그룹은 비만과 과체중의 비율이 각각 1.7배, 1.8배 높았고, 복부비만을 의미하는 허리둘레는 1.5배 컸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수면시간이 매우 짧으면 비만은 1.2배, 과체중 비율이 1.8배 높아졌고, 여아의 경우 비만은 2.3배, 과체중은 1.7배 높아졌다.

 주목할만한 점은 권장 수면시간보다 길게 자는 것도 비만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중성지방인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를 보면 권장 수면시간보다 잠을 많이 잔 소아·청소년에서 트리글리세리드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긴 수면시간을 가진 여아는 권장 수면시간을 자는 여아보다 트리글리세리드 수치가 3.86배 증가했다.

 심 교수는 "수면시간이 짧으면 식욕을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활동이 감소해 단기적으로 체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며 "짧은 수면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촉진해 식욕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면은 소아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및 건강 상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이는 성인이 되어서까지 비만과 심혈관계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면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