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5992401709_89f7d4.jpg?iqs=0.41330328922737714)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스텐트 삽입 12개월 후 다른 수술을 받고자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아스피린 유지와 중단에 따른 주요 합병증 발생 빈도를 비교한 것으로, 두 가지 모두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선택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아스피린을 계속 먹은 환자에서 경미한 출혈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보건의료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수술 시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의료진과 환자가 근거와 선호를 함께 고려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보건의료연구원은 당부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g5.yna.co.kr/etc/inner/KR/2025/10/16/AKR20251016056000530_01_i_P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