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장에 조선대병원 박찬국 교수

  제39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장에 조선대병원 소화기내과 박찬국 교수가 선임됐다.

  24일 조선대병원에 따르면 박 교수는 지난 16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소화기내시경 추계학술대회에서 차기 회장에 선출됐다.

  임기는 내년 11월까지 1년이다.

  1976년 창립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소화기 내시경 분야의 연구·진료·교육 인력 8천여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 교수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에서 소화기 분야 연수를 했으며 조선대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장 및 부원장을 역임했다.

  상·하부 소화기 질환과 췌·담도 질환이 전문 분야다.

  박 교수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만·음주·흡연 등으로 위암과 대장암이 해마다 증가해 소화기 내시 경 분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활발한 연구와 진료, 교육을 통해 국민 건강을 향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희귀질환자는 보이지 않는 존재…환자·가족 전체 지원해야"
희귀질환자는 근본적으로 치료가 어려운 데다 고가의 치료 비용 등으로 가족이 해체되기도 하므로 국가에서 가족 전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권영대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정책위원은 25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연 '희귀·중증질환 치료 방향과 사회윤리'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말했다. 희귀질환이란 유병(有病) 인구가 2만명 이하이거나 진단이 어려워 유병 인구를 알 수 없는 질환으로, 보건복지부령에 따라 정한 질환을 뜻한다. 심평원에 따르면 국내 희귀질환은 현재 모두 1천314종이다. 권 위원은 전문의 부족, 치료제가 있다고 해도 감당하기 어려운 고가의 치료 비용 등 희귀질환자들의 애환을 설명했다. 그는 "대부분의 질환에서 붙박이 간병인이 필수"라며 "평생에 걸친 치료비와 홈 케어 비용으로 가계가 파탄하고, 환자만이 아닌 가족 전체의 삶이 붕괴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 기술의 발전과 함께 희귀질환의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며 "국가적으로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위원은 또 "희귀질환자는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아닌 보이지 않는 존재"라며 "인생 전반에 걸친 다층적 불평등으로 가족이 해체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