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500여 종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 구축

  한국한의학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 구축 사업'에 선정돼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를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 구축 사업은 금융, 문화, 헬스케어, 산림 등 10개 분야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센터' 100곳을 설립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10곳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연구원은 올해부터 3년 동안 9억원을 지원받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500여 종의 약재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한국임업진흥원의 산림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공개하게 된다.

 김종열 한의학연구원장은 "한의학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의 약용 생물자원의 구성 성분과 연관된 단백질 정보, 약용 생물자원의 분포와 가격 정보 등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