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연구모식도 </strong>[전남대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4/art_17615565924975_dc5bfe.jpg?iqs=0.9165312725534915) 
뼈 건강을 '칼슘 부족'의 문제로만 보던 기존 접근에서 벗어나, 면역체계 조절을 통한 골대사 관점에서 면역·골대사 연계 치료 가능성을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이 입증했다.
전남대학교에 따르면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 고정태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Xianyu Piao 박사·송주한 박사)은 최근 면역 단백질 'Caspase-11'이 뼈를 파괴하는 세포의 형성에 직접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Caspase-11 유전자가 결핍된 생쥐 모델과 선택적 억제제를 이용해 Caspase-11 기능을 차단한 결과, 파골세포 형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골소실도 억제됨을 확인했다.
이는 Caspase-11이 면역반응 단백질을 넘어, 뼈 리모델링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단서로 평가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고정태 교수는 "Caspase-11이 뼈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지금까지 조명되지 않은 영역"이라며 "면역과 뼈의 관계에 대한 기존 지식을 확장하고 골다공증·치주염·관절염 등 다양한 골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의 저명 국제학술지 'Cell Death & Differentiation'에 지난 22일 온라인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