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돌연변이, 지적장애·자폐증 연결 메카니즘 밝혀"

미 노스웨스턴대 연구진, 저널 '뉴런'에 논문

 특정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아동기의 지적장애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등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미국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Usp9x 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뇌 발달기의 시냅스(뉴런 연접 부위) 생성을 저해하는 게 문제였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의 '자폐증·신경발달 센터' 연구진은 5일(현지시간) 이런 요지의 논문을 저널 '뉴런(Neuron)'에 발표했다.

 이날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Usp9x 유전자는, 시냅스의 성장과 안정화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ankyrin-G라는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했다.

 이 센터의 피터 펜제스 소장은 "이런 유형의 돌연변이가 어떻게 지적장애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지 이해하는 퍼즐의 중요한 한 조각을 풀었다"라고 말했다.

 성장하는 뇌는 많은 시냅스를 생성해야 한다. 그래야 뉴런(신경세포)들이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Usp9x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ankyrin-G가 안정적으로 발현하지 못해, 시냅스가 줄어들게 된다는 걸 연구팀은 확인했다.

 그래서 Usp9x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는 발달 지체, 학습 장애, 불안증 심화, 과잉 행동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Usp9x 유전자는 ankyrin-G 외에, 시냅스 생성을 늘리는 데 작용하는 다른 몇몇 단백질의 발현도 막는 것으로 드러났다.

 Usp9x는, 뇌의 발달과 학습 기능 형성에 필요한 여러 핵심 단백질의 발현을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했다.

 ankyrin-G 유전자에 심한 돌연변이가 생기면 지적장애와 ASD를 유발한다는 건 이미 알려졌다.

 그런데 그리 심하지 않은 형태의 ankyrin-G 돌연변이를 갖고 태어난 경우 아동기에는 시냅스가 비교적 정상적으로 발달하지만, 청소년기엔 시냅스가 비정상적인 수준으로 감소해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Usp9x와 관련 단백질들은 암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제약산업계의 관심을 끌어왔다.

 이와 관련해 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일부 후보 물질을, Usp9x를 표적으로 지적장애, 자폐증,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거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병원 응급맹장수술 수가 3배↑…필수의료 수가 1천개 인상
정부가 소아·응급 등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상반기까지 1천여 개의 수술·처치·마취 수가(酬價·의료서비스 대가)를 집중적으로 인상한다. 지역병원에서 응급으로 받은 맹장 수술 등에 대한 수가를 200% 가산하는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7일 2025년 제6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를 열고 제2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2024∼2025년) 올해 시행계획을 심의했다. 정부는 우선 2차 건보종합계획 2차년도인 올해 상반기까지 소아·응급 등 난도가 높고 자원 소모가 많은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1천여 개의 수술·처치·마취 수가를 집중적으로 인상한다. 예컨대 외이재건술, 악성골종양 수술 등 소아 고난도 수술 가산을 늘리고 광범위자궁경부절제술 수가를 신설한다. 정부는 저수가 구조를 퇴출하고 건강보험 수가 불균형 개선을 위해 2027년까지 2천여 개 이상의 수가 인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과 지역 종합병원 등에 교원 인건비 260억원, 시설·장비 815억원을 지원하고 총 1천200억원의 저리 융자도 제공해 역량을 강화한다.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는 '관리급여'로 지정해 관리하는 것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