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커피 2잔이상 60대 이상 여성, 뇌졸중 인지기능 저하 주의"

 하루에 커피를 2잔 넘게 마시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뇌졸중과 인지기능저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성남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92명을 대상으로 커피 소비량과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뇌백질 고강도신호는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었을 때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생긴 병변으로, 주로 노인들에게서 잘 발견된다. 뇌백질 고강도신호가 있으면 뇌졸중과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위험이 크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평균 커피 소비량에 따라 마시지 않은 그룹과 하루 2잔 이하로 마신 그룹, 하루 2잔을 초과해 마신 그룹으로 구분했다. 또 각 그룹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2잔을 초과해 마신 여성 그룹의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섭취하지 않거나, 2잔 이하로 마신 여성 그룹보다 컸다. 남성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장기간 카페인 섭취로 인해 뇌 관류가 저하되고, 혈압 상승과 함께 동맥경직도가 증가하면서 노년기에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단 커피의 어떤 성분이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 증가를 유발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커피 섭취로 인한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 증가 위험이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카페인 민감도가 높고 체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영향으로 인해 카페인 분해속도가 느린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의 하루 커피 섭취 권장량은 카페인 300∼400㎎으로 약 3잔 정도지만 커피 섭취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단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려면 더 많은 인구수와 인종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추가모집 곧 마감…입영·수련단축 변수 속 끝까지 고심
사직 전공의(인턴·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하는 5월 추가 모집 마감이 머지않은 가운데 사직 전공의 대부분이 아직까지 뚜렷한 의사를 표현하지 않은 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초 전문의 시험 응시를 원하는 레지던트 상급연차를 중심으로 전공의들이 막판까지 고심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면서 이번에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병원으로 돌아올지가 의료 정상화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진행 중인 전국의 수련병원들은 오는 27일 전후로 원서 접수를 마감하고 이달 말에 합격자를 발표한다. 이번 추가 모집은 정부가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 의료계의 건의를 받아들여 수련 재개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 데 따른 것이다. 통상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되는 전공의 정기 모집과는 '별개'의 추가 모집으로, 각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전형을 진행하고 있다. 접수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주요 수련병원 지원자는 아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귀를 마음먹은 전공의들도 우선 주위를 살피며 조심스러워하고 있기도 하고, 대개 마감 시간에 맞춰 마지막 날 접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다. 복귀 카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