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1/art_17481232361576_3a46fc.jpg)
의정 갈등이 한창이던 지난해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진료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애초에 갔던 병원에서 다른 응급실로 옮기는 전원(轉院)에 걸린 평균 시간도 1년 전보다 5분 넘게 감소했다.
조사 대상자들은 응급실 내 의사의 진료를 신뢰하느냐는 물음에 90.1%가 그렇다(매우 신뢰함+신뢰함)고 답했다. 1년 전 조사 결과(87.7%)보다 2.4%포인트(p) 오른 값이다.
응급실 의사 진료 신뢰율은 2022년 93.8%에서 이듬해 줄었다가 의정 갈등이 한창이던 지난해에 오히려 회복했다.
다만 지역별로는 편차가 컸다.
충북(99.1%)과 서울(97.8%), 대구(95.8%), 경기(95.3%) 등에서는 100%에 가까운 신뢰율을 보였지만, 울산의 경우 66.2%로 유독 낮았다.
응급실 내 간호사의 간호활동에 대한 신뢰율도 지난해 91.6%로, 1년 전(88.9%) 대비 2.7%포인트 올랐다.
간호활동 신뢰율도 의정 갈등 동안 회복했고, 지역별 봤을 때도 울산(69.0%)이 유일하게 70%를 밑돌았다.
지난해 조사에서 새로 도입한 '응급실 퇴원 후 주의사항 및 치료계획에 대한 담당 의료진의 설명 충분성' 질문에는 응답자 10명 중 9명(88.3%)은 그렇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환자가 진료를 신뢰할수록 전반적인 만족률이 높아졌다"며 "이는 의사의 진료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 의정 갈등에도 전원 시간 5분 감소…10명 중 8명은 "대기 시간 적절"
전원에 걸린 시간은 전년보다 줄었다.
외부에서의 전원으로 응급실에 방문한 응답자들이 답한 평균 전원 소요 시간은 25.8분으로, 1년 전 조사(31.3분)보다 5.5분 감소했다.
'15∼30분 미만'과 '30∼60분 미만' 소요됐다는 응답률이 각 44.0%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 10명 중 8명(79.9%)은 의사 진료를 받을 때까지 대기 시간이 적당했다고 답했다. 이는 2023년(66.7%)보다 13.2%포인트 오른 값이다.
다만, 지난해 응급실 도착부터 의사 진료를 최초로 받을 때까지 걸린 평균 대기 시간은 16.4분으로, 1년 전보다 1.6분 늘었다.
검사 대기 시간이 적절했다는 응답률은 2023년 68.5%에서 지난해 82.0%로 상승했다.
입원 또는 수술까지의 대기 시간에 대한 만족률도 직전 연도(85.2%) 대비 2.4%포인트 올랐다.
이 밖에 적절한 응급 진료 및 처치에 대한 만족률(91.2%) 등 몇몇 질문에서 부정적 응답이 다소 늘었지만, 대부분 90% 안팎의 준수한 수준으로 파악됐다.
◇ 응급실 수칙 인지율 1위 '폭행·폭언 금지'…꼴찌는 '중증도 순서 진료'
조사 대상자들은 사전에 알던 응급실 이용수칙을 물었을 때 '의료진에 대한 폭언·폭행 금지'(83.6%)를 1순위로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응급실 내 필수 진료보조인력 외 보호자 출입 제한'(80.0%), '119구급대원이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75.5%), '환자 상태별 응급실 구분 이용'(75.4%) 순이었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정부가 중증 환자 위주로 응급실을 이용해 달라고 강조했지만, '의료진의 판단에 따른 중증도 순으로 진료'한다는 수칙에 대한 인지율은 69.6%로 가장 낮았다.
이용자들은 우리나라 응급의료 서비스 이용 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역사회 응급실 부족'(45.7%)을 가장 많이 문제 삼았다.
이어 '야간·휴일 응급의료 서비스 이용 어려움'(33.5%), '응급실 이용 비용'(32.7%)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지역사회 응급실 확충이 시급하다"며 "응급 상황 발생 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내 응급의료 인프라를 강화하고, 야간·휴일 운영도 확대해야 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