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신입 전공의모집. 기사와 관련 없음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1/art_17481251616457_3cf1e4.jpg)
사직 전공의(인턴·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하는 5월 추가 모집 마감이 머지않은 가운데 사직 전공의 대부분이 아직까지 뚜렷한 의사를 표현하지 않은 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초 전문의 시험 응시를 원하는 레지던트 상급연차를 중심으로 전공의들이 막판까지 고심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면서 이번에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병원으로 돌아올지가 의료 정상화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통상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되는 전공의 정기 모집과는 '별개'의 추가 모집으로, 각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전형을 진행하고 있다.
접수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주요 수련병원 지원자는 아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귀를 마음먹은 전공의들도 우선 주위를 살피며 조심스러워하고 있기도 하고, 대개 마감 시간에 맞춰 마지막 날 접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다.
복귀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입영 연기와 인턴 수련 기간 단축 약속을 받아내야 하지 않느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군 미필 전공의들은 지난해 사직과 함께 입영 대기 상태가 됐기 때문에 이번에 복귀하더라도 내년이나 내후년 영장이 나오면 입대해야 할 수도 있어 수련 도중 군대에 끌려가지 않도록 입영 특례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병무청은 복귀 규모와 군 의료인력 수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면서도, 최대한 적극적으로 배려해주겠다는 입장이다.
병무청 관계자는 "향후 의무장교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전공의들이 의무사관후보생 신분으로 최대한 수련을 마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는 전공의들이 수련을 무리 없이 이어가게 하려면 이번 추가 모집에 응시한 인턴의 수련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고 본다.
전공의는 인턴 1년을 마치고 진료과목을 정해 레지던트 3∼4년의 수련을 거치는 데, 인턴이 이번에 복귀해 내년 5월까지 12개월 수련을 마치면 내년 3월에 레지던트 1년차 수련을 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이번에 복귀하는 인턴의 수련기간을 9개월로 단축해달라고 복지부에 건의한 상태다.
복지부는 이러한 의료계의 요청과 관련,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현장에서는 전공의들의 '대규모' 복귀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는다면서도 지난 1∼2월 모집 때보다는 동요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마지막까지 기다려보겠다는 입장이다.
전공의들 오픈채팅방 등에선 병원별, 과별로 엇갈리는 분위기가 관측된다.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사실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마지막 날까지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