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버그, 왜 끈질긴가 했더니…상처 치유 효소로 인체 공격

호주 모내시대학 연구진, 섬유소 분해 효소 '장 조직' 손상 확인
효소 억제 항체도 개발…코로나19 등 염증 질환 효과 기대

  약칭 C.diff(정식 명칭 Clostridioides difficile) 균은 병원 내 감염에 단골로 등장하는 위협적인 슈퍼버그(Superbug)다.

 고령이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입원 환자 등에게 아주 위험한 장염을 일으키는데 재발률이 높아 강력한 항생제를 여러 달 써도 잘 낫지 않는다.

 세계 응급외과학회(WSES)는 지난해 이 슈퍼버그 감염증(CDI)에 초점을 맞춰 업데이트한 임상 진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슈퍼버그는 항생제 복합 투여로도 잘 잡히지 않는 다제내성균을 말한다.

 그런데 호주의 모내시대학 과학자들이 C.diff 균 감염증 치료가 그렇게 어려운 이유를 알아냈다. 이 슈퍼버그가 인체의 상처 치유 메커니즘을 거꾸로 이용해 병세를 키운다는 게 요지다.

 관련 논문은 26일(현지시간) 저널 '위장병학(Gastroenterology)'에 실렸다.

 C.diff 균은 혈장의 플라즈미노겐(plasminogen)을 대량 활성화해 장 조직을 파괴하고 감염 병소를 넓혔다.

 활성화한 플라즈미노겐은 플라스민이라는 효소로 변해 섬유소를 분해하는데, 보통 이 시스템은 절제된 방식으로 상흔 조직을 분해하고 상처 치유를 돕는다.

 놀랍게도 C.diff 균이 일으키는 장 조직 손상에는, 세균의 독소보다 환자 본인의 플라스민 효소가 더 많이 작용했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플라즈미노겐 차단 항체를 동물 모델에 테스트해, C.diff 균 감염증 진행과 조직 손상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걸 확인했다.

 이 항체는 적용 범위가 매우 넓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즈미노겐-플라즈민 시스템의 오작동은 다른 심각한 염증 및 감염 질환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제임스 위스톡 구조생물학 교수는 "비근한 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파괴적인 폐 조직 손상에도 이 시스템이 관련됐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