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척수와 신호 주고받는 장 내벽 뉴런 발견..기분조절 등에 영향

호주 플린더스대 연구진, 미 신경과학회 저널에 논문

  장 신경계(ENS)는 장 내벽을 둘러싸고 작동하는 광범위한 뉴런과 신경전달물질의 네트워크다.

  장 내벽에 존재하면서 가깝게는 척수부터 멀게는 뇌까지 외부 기관 뉴런(신경세포)과 신호를 주고받는 독특한 유형의 뉴런을, 호주 플린더스대 연구진이 발견했다.

  '직관'을 의미하는 영어 표현(gut instinct)에 왜 '장(gut)'가 들어가 있는지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 신경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이뉴로(eNeuro)'에 논문으로 실렸다.

  27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최근 들어 신경질환이 장에서 발생해 뇌로 진행한다는 증거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인 파킨슨병은 중뇌 흑질의 도파민 분비 뉴런이 소멸해 생기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처음엔 팔과 다리가 떨리는 정도지만 신체 강직 등으로 진행하다가 나중엔 누워서 지내야 하는 상태까지 악화한다.

 이번 연구는 '내장 활동 뉴런(viscerofugal neurons)'이 외부 기관에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발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장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감지해 척수와 뇌 등 외부 기관에 관련 정보를 역동적으로 전달하는 경로를 말한다.

 결국 장이 전달하는 이런 신호는 뇌의 어려운 결정, 기분 조절, 일상의 행복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이 연구를 이끈 닉 스펜서 교수는 "심장, 간 등과 달리 장은 뇌나 척수와 별개로 작동하는 독자적인 신경계를 갖고 있다"라면서 "장과 다른 기관의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게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터널 끝 보일까…李 '해답찾기' 주문 속 의료계도 화답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과 '대화'의 메시지를 내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의 대화를 통한 갈등 해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이 곧바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의료대란의 해법 찾기를 주문한 가운데, 의료계도 장기화한 사태 해결의 바람을 담아 화답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진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선 "제가 가장 어려운 의제로 생각했던 의료대란 문제와 관련, 해답이 있을지 가능하면 찾아봐 달라"며 "의사단체 및 관련 의료단체와의 대화도 치밀하고 섬세하게, 충분하게 해주길 부탁드린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구체적인 해법까지 제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성별·연령별 정상 혀 색깔은…" 한의학연, 국가참조표준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학계 최초로 혀 색상을 통해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국가참조표준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국가참조표준은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과학적으로 검증·공인해 사회 각 분야에서 활용하게 하는 제도다. 한의건강검진 연구에서 표준화된 측정 방법으로 수집한 한국 정상인의 설 영상 데이터 967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됐다. 설진(舌診·혀의 색깔과 형태를 통해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한의학 진찰 방법) 측정 기기를 통해 측정한 성별·연령별 한국인 정상인의 설질과 설태 색상 데이터가 포함됐다. 설질은 혀의 조직 표면으로 면역 세포의 침윤에 의한 갈라짐, 타액 양에 따른 건조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설태는 설질 위에 깔린 이끼 형태의 물질로, 설질 상피의 각질화 속도 등을 파악해 한의학적으로는 위장관 질환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육안을 이용한 전통적인 설진 측정 방식은 높은 불확도(측정값의 오차범위)로 인해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팀은 국내에 현존하는 설진 측정 기기를 포괄해 측정 방법을 표준화하고, 불확도를 계산해 한국 정상인의 혀 색상 참조표준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성별·연령별 정상 혀의 설질과 설태 색상을 획득하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아ST, 입센코리아와 성조숙증·전립선암 치료제 공동 판매
동아에스티는 입센코리아와 성조숙증 및 전립선암 치료제 '디페렐린(성분명 트립토렐린)' 공동판매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디페렐린은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 입센이 개발한 GnRH(생식샘 자극 방출 호르몬) 작용제로, 중추성 성조숙증 및 전립선암에 쓰이는 치료제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지난 1일부터 디페렐린의 국내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공동으로 진행한다. 종합병원 대상 영업은 양사가 함께 협력하고, 병의원 대상 영업은 동아에스티가 전담한다. 양사는 축적된 역량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너지를 창출해 디페렐린의 국내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입센코리아 양미선 대표는 "디페렐린은 조기 사춘기로 고민하는 성조숙증 어린이들과 남성성, 암 치료의 경계에서 고민하는 전립선암 환자들을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 약제"라며 "입센의 과학적 접근 및 동아에스티의 국내 시장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정재훈 사장은 "입센코리아와의 협력은 디페렐린의 국내 공급 확대와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사의 역량과 전문성이 결합돼 국내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성조숙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