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40% 여름철에 걸려…"육류는 완전 익혀야"

2015∼2019년 식중독 환자 연평균 6천893명 발생…39%는 6~8월에 나와

 (수원=휴먼메디저널) 최은경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8일 여름철에 세균으로 인한 식중독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면서 식재료의 세척과 조리에 주의를 당부했다.

 이날 식약처가 공개한 '식중독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식중독 환자는 연평균 6천893명씩 발생했으며 이 중 39% 2천697명은 여름철인 6∼8월에 나왔다.

 또 지난 5년간 식중독 사고는 연평균 346건으로 집계됐는데 59.8%인 207건(환자 1천820명)은 음식점에서 발생했다. 이 밖에 집단급식소에서 69건(환자 3천304명), 가정집에서 4건(환자 16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6∼8월 여름철 발생한 식중독 사고만 보면 5년간 연평균 108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61%인 66건은 음식점에서 발생했다.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은 병원성대장균, 캠필로박터 제주니, 살모넬라 순으로 조사됐다.

 식약처는 이날 여름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도 장소별로 안내했다.

 음식점에서는 익히지 않은 음식을 제공하지 않아야 병원성대장균, 비브리오균 등으로 인한 식중독 감염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육회, 생선회 등 날 음식을 판매해야 한다면 소량씩 자주 제공해 음식의 신선도를 유지해야 한다.

 집단급식소에서는 육류, 해산물, 계란이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중심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하고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으로 5분 이상 세척한 뒤 충분히 헹궈내야 한다.

 특히 여름철 많이 섭취하는 삼계탕을 조리할 때는 생닭을 씻은 물이 다른 식재료나 식기에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정에서는 조리 전 손을 세정제로 30초 이상 씻어야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올해 30주까지를 지난 5년 동기간 평균과 비교하면 사고 건 수는 46%, 환자 수는 49% 감소했지만 이달들어 식중독 발생이 예년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다"면서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