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종양의 'T세포 포박' 깨는 급소 찾았다"

TREM2 면역세포 수용체 차단하면, T세포 공격력 회복
미 워싱턴 의대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인간 면역계의 간판 공격수인 T세포는 암세포를 찾아내 파괴하는 능력을 갖췄다.

 이에 맞서 암 종양은 스스로 면역 억제 환경을 조성해 T세포를 비활성 상태로 묶어 놓는다.

 차세대 항암 치료로 주목받는 일명 '면역 관문 억제제'는, 활력을 잃은 T세포를 깨워 다시 암을 공격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면역 관문 억제 치료로 효과를 보는 암 환자는 아직 일부에 그친다.

 암 종양이 만든 면역 억제 환경을 충분히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난제를 풀 가능성이 높은, TREM2라는 면역세포 수용체 단백질을 미국 워싱턴대 의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암세포에서 이 단백질을 제거하면 종양을 둘러싼 면역 억제 환경이 약해져, T세포가 종양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게 동물실험에서 확인됐다.

 이 연구를 수행한 워싱턴 의대의 마르코 콜로나 면역생물학 교수팀은 12일(현지시간) 저널 '셀(Cell)'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콜로나 교수는 "근본적으로 항암 면역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새로운 도구를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다.

 콜로나 교수는 오래전부터 알츠하이머병과 TREM2 단백질의 연관성을 연구해 왔다. 기능이 떨어진 뇌의 대식세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힘이 떨어진 대식세포가 암 종양의 내부에도 많다는 걸 발견했다.

 이런 암 종양이 TREM2 단백질을 생성해 T세포 억제 환경을 강화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래서 육종(sarcoma)이 생긴 생쥐에 TREM2 차단 항체와 면역 관문 억제제를 함께 투여했더니 놀랍게도 종양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어 TREM2 항체만 투여하자 기능이 약해진 대식세포가 대부분 자취를 감추고, 다량의 T세포가 활성 상태를 회복했다.

 이는 TREM2를 차단하는 게 T세포의 항암 작용을 북돋우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연구팀은 TREM2 수용체를 가진 대식세포가 여러 종류의 암 종양에 존재한다는 확인하고, 암 유전체 지도를 바탕으로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TREM2 단백질 수위가 높을수록 대장암과 유방암이 더 빨리 제거된다는 걸 확인했다.

 다행스러운 건, 다른 질병의 치료제로 이미 TREM2 항체가 개발돼 임상 시험 중이라는 점이다.

 콜로나 교수는 "인간 항체의 항암 작용이 동물 시험에서 최종 확인되면 임상으로 갈 준비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