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외출 줄면서 껌.사탕 매출 감소…집에서는 안 씹네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외출이 줄어들면서 껌과 사탕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자일리톨' 등을 생산하는 롯데제과의 올해 2분기 껌 매출은 370억원으로 작년 동기 450억원보다 17.77% 감소했다.

 또 다른 제과업체 오리온은 국내 껌 매출이 작년 2분기 56억원에서 올해 2분기 32억원으로 42.7%나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각종 간식류 매출이 늘어나 제과업계가 선전한 업계 전체의 상황과는 정반대여서 눈길을 끈다.

 업계에서는 롯데제과가 연간 1천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는 '자일리톨'을 비롯해 '쥬시후레쉬' 같은 스테디셀러에 힘입어 80%가량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제과에 이어 오리온과 해태 등이 국내 껌 시장에서 활약 중이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야외 활동이 줄어든 것이 매출 감소의 주된 원인"이라며 "전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에서 aT가 2018년 4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1년 1개월간 네이버 블로그를 대상으로 제품 정보·소비자 의견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껌 구매 목적은 간식·후식이 39.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여행·나들이가 37.2%로 근소하게 뒤따랐다.

 또 껌 취식 시간대 데이터를 들여다봤더니 아침·출근 시간이라는 언급이 73.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30∼40대 남성이 껌의 주 취식자로, 껌 세부 품목 중 '졸음 방지용 껌'을 주로 소비한다"고 분석했다.

 결국 코로나19로 여행과 나들이가 뜸해지고 재택근무로 아침 출근마저 사라지면서 껌을 소비할 동기가 사라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오리온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에 마스크를 쓰면 껌을 씹기가 쉽지 않은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코로나19라는 '돌발 변수'외에도 껌 시장 자체가 원래 하락세였다는 점을 들기도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껌 연간 소매 매출액은 2016년 2천356억원에서 2017년 2천347억원, 2018년 2천242억원 등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업계에서는 껌 수요가 '질겅질겅' 씹을 필요도 없고 뱉은 뒤 처리를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젤리 등으로 옮겨가는 추세라고 보고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껌을 맛·기호의 측면에서 소비하는 경향이 줄어들고 있다"며 "이 때문에 껌을 씹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는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과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높인 제품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성장을 이어가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