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이용자 80%는 진료비 부담…불만족 1위는 과잉진료"

 동물병원 이용자 10명 중 8명은 진료비에 부담을 느끼고, 과잉진료로 인한 불만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지난 10월 13~17일 동물병원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0.7%는 진료비에 부담을 느꼈다고 답했다.

 동물병원의 1회 평균 진료비는 8만3천원으로, 지난해 조사된 7만5천원보다 9.6% 늘었다. 진료비로 10만원 이상 지출한 소비자도 32.3%에 달했다.

 동물병원 관련 소비자 불만족으로는 과잉진료 의심이 16.7%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진료비 사전 고지 없음(15.8%), 진료비 과다 청구(14.1%) 등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38.3%는 동물병원 간 진료비를 비교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진료비 정보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34.6%로 가장 많았고, 전문적인 내용이어서 비교 자체가 어렵다는 이유가 27.4%를 차지했다.

 동물병원에서 진료비 관련 정보를 얻은 시점이 진료 전인 경우는 24.3%에 그쳤다.

 진료비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총액만 영수증을 통해 받거나(26.9%) 말로 설명을 듣는 경우(21.5%)가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진료 항목별로 상세한 내용이 적힌 영수증을 받은 경우는 25.7%에 그쳤다.

 동물병원 이용 시 필요한 개선점(복수 응답)으로 가장 많이 선택된 것은 실내 진료비 정보 게시 의무(63.1%)였고 진료비 비교 플랫폼의 활성화를 원하는 소비자도 63.1%였다.

 희망하는 진료비 제공 수준으로는 '세부적인 진료 항목별 금액과 처치 내용'이 39.9%로 가장 많이 꼽혔고, '주요 진료 항목 금액과 처치 내용'은 25.5%, '세부 항목별 금액'은 23.9%였다.

 
동물병원 진료비 제공 시점

 한국소비자연맹은 "전반적으로 동물병원 진료비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많다"면서 "치료 전 진료 항목 관련 정보를 제공해 동물병원 이용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고 소비자의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