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지난해 암 1천937건 조기발견...갑상선,위,대장직장,유방암 순

KMI한국의학연구소, 2020년 암 1937건 조기 발견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종합건강검진기관인 KMI한국의학연구소가 지난해 1천937건의 암을 조기에 발견,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KMI는 2020년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102만3천836명 가운데 2만8천237명이 중증질환의심 환자로 분류됐고, 이 가운데 1천937건이 암으로 최종 확진됐다고 29일 밝혔다.

  암 진단 건수는 ▲2015년 1천360건 ▲2016년 1천600건 ▲2017년 1천478건 ▲2018년 1천629건 ▲2019년 1천900건 등으로, 2020년은 전년 대비 1.9%(37명) 증가했다.

 최근 10년(2011-2020년) 간 진단된 암은 1만6천413건에 달한다.

 지난해 확진된 암의 경우 갑상선암이 697명(36.0%)으로 가장 많고, 위암 339명(17.5%), 대장직장암 265명(13.7%), 유방암 200명(10.3%) 등 순이다.

 특히 한국인에서 사망률 1위인 폐암(54명) 등도 다수 진단되었으며, 암 진단 연령대에는 20~30대도 512건이 포함됐다.

  남성은 920명 가운데 갑상선암이 302명(32.8%)으로 가장 많고, 이어 위암 232명(25.2%), 대장직장암 161명(17.5%), 신장암 42명(4.6%), 전립선암 36명(3.9%), 폐암 33명(3.6%), 간암 22명(2.4%) 순이다.

 여성은 1천17명 가운데 갑상선암 395명(38.8%), 유방암 200명(19.7%), 위암 107명(10.5%), 대장직장암 104명(10.2%), 자궁경부암 85명(8.4%), 뇌종양 25명(2.5%), 폐암 21명(2.1%), 신장암 21명(2.1%) 등 순으로 드러났다.

 KMI 안지현 교육연구부장(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은 “암, 심혈관질환 등 중증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며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 과음 등 생활습관이 안 좋을수록 종합검진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국가건강검진이 올 6월까지 연장되었고, 검진기관은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검진을 미루지 말고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KMI는 재단 산하 전국 7개 건강검진센터(광화문·여의도·강남·수원·대구·부산·광주)의 전체 내원객을 대상으로 체온 측정 및 코로나19 위험지역 방문이력 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KMI의 공식 유튜브 채널(Channel KMI)과 유튜브 안지현TV, KMI사회공헌사업단 산하 학술위원회(학술위원장 신상엽 감염내과전문의) 등을 통해 코로나19를 비롯한 주요 질환의 건강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1985년 설립된 KMI는 전국 7개 지역에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종합건강검진기관으로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활동과 더불어 KMI사회공헌사업단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