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지난해 암 1천937건 조기발견...갑상선,위,대장직장,유방암 순

KMI한국의학연구소, 2020년 암 1937건 조기 발견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종합건강검진기관인 KMI한국의학연구소가 지난해 1천937건의 암을 조기에 발견,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KMI는 2020년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102만3천836명 가운데 2만8천237명이 중증질환의심 환자로 분류됐고, 이 가운데 1천937건이 암으로 최종 확진됐다고 29일 밝혔다.

  암 진단 건수는 ▲2015년 1천360건 ▲2016년 1천600건 ▲2017년 1천478건 ▲2018년 1천629건 ▲2019년 1천900건 등으로, 2020년은 전년 대비 1.9%(37명) 증가했다.

 최근 10년(2011-2020년) 간 진단된 암은 1만6천413건에 달한다.

 지난해 확진된 암의 경우 갑상선암이 697명(36.0%)으로 가장 많고, 위암 339명(17.5%), 대장직장암 265명(13.7%), 유방암 200명(10.3%) 등 순이다.

 특히 한국인에서 사망률 1위인 폐암(54명) 등도 다수 진단되었으며, 암 진단 연령대에는 20~30대도 512건이 포함됐다.

  남성은 920명 가운데 갑상선암이 302명(32.8%)으로 가장 많고, 이어 위암 232명(25.2%), 대장직장암 161명(17.5%), 신장암 42명(4.6%), 전립선암 36명(3.9%), 폐암 33명(3.6%), 간암 22명(2.4%) 순이다.

 여성은 1천17명 가운데 갑상선암 395명(38.8%), 유방암 200명(19.7%), 위암 107명(10.5%), 대장직장암 104명(10.2%), 자궁경부암 85명(8.4%), 뇌종양 25명(2.5%), 폐암 21명(2.1%), 신장암 21명(2.1%) 등 순으로 드러났다.

 KMI 안지현 교육연구부장(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은 “암, 심혈관질환 등 중증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며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 과음 등 생활습관이 안 좋을수록 종합검진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국가건강검진이 올 6월까지 연장되었고, 검진기관은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검진을 미루지 말고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KMI는 재단 산하 전국 7개 건강검진센터(광화문·여의도·강남·수원·대구·부산·광주)의 전체 내원객을 대상으로 체온 측정 및 코로나19 위험지역 방문이력 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KMI의 공식 유튜브 채널(Channel KMI)과 유튜브 안지현TV, KMI사회공헌사업단 산하 학술위원회(학술위원장 신상엽 감염내과전문의) 등을 통해 코로나19를 비롯한 주요 질환의 건강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1985년 설립된 KMI는 전국 7개 지역에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종합건강검진기관으로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활동과 더불어 KMI사회공헌사업단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