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굵기 미세혈관까지 보는 MRI 조영제 개발

IBS·연세대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로 뇌·심혈관 질환 진단"

 우리 몸속 머리카락 굵기 미세혈관까지 볼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천진우 단장(연세대 화학과 교수)과 연세대 의대 최병욱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보다 10배 더 정밀한 3차원 혈관 지도를 만들 수 있는 MRI 조영제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사이오 조영제를 이용한 3차원 MRI 뇌혈관 지도

 MRI는 컴퓨터 단층(CT) 촬영이나 엑스레이(X-ray)로 확인하기 어려운 병증을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진단 장비이다.

 주로 뇌·심혈관 질환 진단에 사용돼 뇌와 심장의 혈관이 좁아졌거나 막혔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촬영 시 조직이나 혈관이 잘 보이도록 MRI 조영제를 인체에 투여하는데, 기존 조영제로는 입자 크기가 너무 커 미세혈관까지는 보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분자 산화철 조영제 '사이오'(SAIO)는 5㎚(나노미터·100만분의 1㎜)로, 미세혈관 평균 지름(0.2∼0.8㎜)의 1천500분의 1에 불과하다.

 몸속 모든 혈관을 돌아다닐 수 있고, 높은 해상도를 지녀 기존 임상에서 쓰이는 일반 조영제보다 혈관을 10배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사이오 조영제를 활용해 쥐의 뇌를 MRI로 촬영, 머리카락 굵기인 지름 0.1㎜ 수준의 미세혈관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3차원 MRI 뇌혈관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치매 등 뇌·심혈관 질환 진단 정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철분을 주성분으로 사용해 MRI 촬영 후에는 소변으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방광에 모인 사이오 조영제

 기존 가돌리늄 조영제의 경우 건강한 사람은 콩팥으로 배설할 수 있지만, 만성 콩팥병을 심하게 앓는 환자의 경우 신원성 전신 섬유증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천진우 단장은 "지금까지 MRI 기술이 고속도로만 볼 수 있는 수준이라면, 사이오 MRI 영상은 좁은 골목길까지 자세히 볼 수 있는 기술"이라며 "해상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차세대 조영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이날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