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한국의학연구소, 올해 연구지원사업 공모...예산 4억2천만원 편성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KMI한국의학연구소는 ‘2021년도 KMI 연구지원사업’ 13개 과제에 참여할 연구기관을 오는 8월 9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이번 공모는 외부연구(11개 과제)와 신진연구자 연구(2개 과제)로, 기관 당 2천만원을 지원한다.

 또 내부의료진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내부연구도 지원할 계획이다.

 자격은 △국/공립 연구기관 △민법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의 연구기관 △고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대학교의 연구기관 △기타 의학 분야 연구 개발 기관이다.

  KMI 소속 전문의 또는 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권장하며, KMI 연구 자료(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KMI 연구자가 포함된 연구에 한해 지원이 가능하다.

 KMI 공식 홈페이지(www.kmi.or.kr) 공지에서 연구계획서를 다운로드 받아 작성한 후 8월 9일 오후 4시까지 이메일(kmiesg@kmi.or.kr)로 접수하면 되며, 기타 문의 사항은 KMI사회공헌사업단(☎<02>3702-9180)으로 하면 된다.

  심사평가위원회의 연구개발계획서 심사 후 최종 선정되며, 선정 결과는 8월 중으로 해당 기관에 전달된다.

 2008년부터 진행 중인 ‘KMI 연구지원사업’은 예방의학 분야, 임상의학 분야, 기초의학 분야에 연구비를 지원한다. KMI는 지난 13년간 126건의 연구에 대하여 총 31억 6천만원에 달하는 연구비를 국내 연구진에 제공했다.

 이 같이 기초의학분야의 연구개발에 힘써 40여 건의 SCI급 학술논문 발표와 전문서적 발간, KMI 연구지원사업 논문모음집 발간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한만진 KMI 사회공헌사업단장은 올해 ‘KMI 연구지원사업’의 예산은 총 4억 2천만원으로 국정과제인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활성화 정책’을 고려해 신진연구자(박사학위 획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39세 이하 연구자)와 연구자가 자율적으로 책임감을 갖고 연구할 수 있는 외부 연구기관의 연구자, 지속연구(연세대와 진행 중인 난치성 대사증후군 공동 연구) 등에 지원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MI는 1985년 설립된 건강검진기관으로 현재 서울 3곳(광화문, 여의도, 강남)과 지방 4곳(수원, 대구, 부산, 광주) 등 전국 7개 지역에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등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설립 이래 한국인의 임상병리 특성 연구와 생활습관병 등 질병예방을 위한 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는 의과대학의 산·학·연과 협력해 공공보건 증진을 위한 연구를 후원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무조정실,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 확대 권고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고 29일 밝혔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들은 약국 앞에 설치된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통해 약사와 화상통화로 상담·복약 지도 후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6월 국내에서 규제유예제도(규제샌드박스)로 특례를 부여받아 2023년 3월부터 8대가 운영 중이다. 신산업규제혁신위는 "약효군을 확대하더라도 국민 건강·안전상 우려가 크지 않고,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편의성 및 경증 환자의 응급 의료 혼잡도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위원회는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 앞에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행 관리 체계상 불허하기로 권고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반려동물병원 수의사가 동물 진료 목적으로 인체용 의약품을 사용하려고 할 때 약국이 아닌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구매가 가능하도록 실증 특례 부여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유통 단계를 줄임으로써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는 인체의약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