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약 '스타틴', 음성 유방암 생존율 개선에 도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가 유방암 중에서도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3중 음성 유방암(TNBC: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의 생존율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중 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인간표피성장인자 수용체 등 3가지 호르몬 수용체가 모두 발현되지 않는 공격적인 유방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10~20%를 차지하고 있다.

 3중 음성 유방암은 기존의 치료법으로 공격할 수 있는 표적(수용체)이 적기 때문에 치료에 한계가 있다.

 미국 텍사스 대학 암센터의 케빈 니드 역학 교수 연구팀이 유방암 1~3기 환자 2만3천192명(66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추적 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3일 보도했다.

 분석 결과 3중 음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스타틴 복용 그룹이 스타틴을 복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방암 생존율이 58%, 전반적인 생존율이 3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3중 음성 유방암이 아닌 다른 유방암 환자의 경우는 스타틴 복용과 생존율 개선 사이에 연관이 없었다.

 특히 초기 단계의 3중 유방암 환자가 스타틴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스타틴은 용량이 클수록 효과가 컸고 특히 지용성(lipophilic) 스타틴(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이 생존율 개선과 연관성이 강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암 전문지 '암'(Cancer)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조현병 치료제 '할로페리돌', 성장기 뇌 신경 발달 억제"
조현병 치료제인 '할로페리돌'이 성장기 청소년의 뇌 신경 발달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김기석 박사 연구팀이 인간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뇌 오가노이드(유사 장기)를 활용해 할로페리돌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오가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고 신경 발달이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기존 항정신병제 부작용 연구는 성인 환자를 중심으로 운동장애, 대사 이상, 심혈관계 영향 등 단기적인 이상 반응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약물이 태아와 청소년기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뇌 오가노이드에 할로페리돌을 노출하는 실험을 통해 할로페리돌이 세포의 분열·분화 등을 결정짓는 세포 간 신호 전달 경로인 '나치1'(Notch1)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정상적인 신경 발달을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할로페리돌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할로페리돌을 꾸준히 투여한 실험군 비교 결과, 약물의 농도와 시간의 격차가 커질수록 뇌 오가노이드의 성장 속도가 유의미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할로페리돌을 1μM(마이크로몰·100만분의 1몰) 농도로 장기 투여한 49일 차에 독성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