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JAK 억제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야누스 키나제(JAK: Janus kinase) 억제제인 룩솔리티닙(Ruxolitinib) 연고를 아토피성 피부염(AD: atopic dermatitis)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인사이트(Incyte) 제약회사 제품인 룩솔리티닙(제품명: 옵젤루라)은 기존의 국소용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 중등도(moderate) 내지 중증(severe) 아토피성 피부염의 단기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다고 온라인 의학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22일 보도했다.

 JAK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궤양성 대장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표적인 염증 유발 효소 야누스 키나제를 억제하는 약이다.

 JAK 억제제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FDA가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룩솔리티닙은 아토피성 피부염 성인 및 청소년 환자 1천2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임상시 험에서 효과가 확인됐다.

 이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그룹엔 룩솔리티닙 연고를, 다른 그룹은 룩솔리티닙이 함유되지 않은 연고를 매일 두 번 발랐다.

 그 결과 8주 후 연구자 총괄 평가(IGA: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1차 변수(primary endpoint)에 도달한 비율은 룩솔리티닙 그룹이 15.1%로 대조군의 7.6%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룩솔리티닙 그룹에서는 또 50% 이상이 가려움증이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이에 비해 대조군은 15~16%에 그쳤다.

 룩솔리티닙 그룹에서 나타난 부작용은 비인두염, 기관지염, 중이염,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eosinophil)의 증가, 두드러기, 모낭염, 편도선염, 설사였다.

 미국 습진 협회(National Eczema Association)의 줄리 블록 회장은 많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와 피부과 의사들은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채워지기를 고대하고 있다면서 FDA의 룩 솔리티닙 승인은 반가운 소식이라고 논평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된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30일 밝혔다. 자원관은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라는 국내에 자생하는 토양 미생물(방선균)에서 '스베타마이신 C'(Svetamycin C)라는 항생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했다. 방선균은 주로 흙에 사는 미생물로 현존하는 항생제 60%가 방선균에서 유래했다. 스베타마이신 C는 2017년 국제 학계에 처음 보고된 펩타이드 계열 항생물질로 국내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스베타마이신 C는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에 내성을 지닌 황색포도알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가 12.5㎎/ℓ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특정 항생물질이 세균의 증식을 눈에 띄게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옅은 농도로 값이 낮을수록 억제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외에도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을 신규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병원균으로 지정했다. 황색포도알균은 피부나 코점막에서 흔히 발견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