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신약 엘라세스트란트, 임상시험서 효과 입증"

 새로 개발된 차세대 경구용 유방암 호르몬 치료제 엘라세스트란트(Elacestrant)가 유방암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3상 임상시험 결과 밝혀졌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방암 연구실장 아디트야 바르디아 박사 연구팀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S-positive)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3상 임상시험에서 엘라세스트란트가 투여된 환자가 표준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보다 무진행 생존율(PFS: progression free survival)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은 폐경이 지난 ER-양성 유방암 환자 477명을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진행됐다.

이들은 절반씩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그룹(239명)에는 엘라세스트란트가 투여되고 다른 그룹(238병)은 다른 호르몬 치료를 받았다.

 그 결과 12개월 동안 암이 진행되지 않고 생존한 무진행 생존율이 에라세스트란트 그룹은 22.32%, 다른 그룹(대조군)은 9.42%로 나타났다.

 엘라세스트란트 그룹 중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유전자 변이(ERS1)가 발생해 호르몬 요법에 내성이 생긴 환자들은 효과가 더 커 12개월 무진행 생존율이 27.76%로 나타났다.

 표준 호르몬 요법을 받은 대조군은 8.19%에 그쳤다.

 가장 자주 나타난 부작용은 오심으로 엘라세스트란트 그룹이 35%, 대조군이 18.8%였다.

 이밖에 엘라세스트란트 그룹에서 나타난 부작용은 피로(19%), 구토(19%), 관절 통증(14.3%), 식욕 저하(14.8%), 설사(13.9%), 요통(13.9)이었다.

 엘라세스트란트를 개발한 레디어스 헬스(Radius Health) 제약회사는 식품의약국(FDA)에 심사과정 단축이 가능한 신속 심사(fast-track)를 신청할 계획이다.

 ER-양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암세포의 성장이 촉진되는 형태의 유방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ER-양성 유방암은 호르몬 요법으로 치료하지만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가 변이를 일으켜 호르몬 요법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엘라세스트란트는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에 이어 개발된 두 번째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SERD: selective estrogen receptor degrader)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positive) 유방암  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 이 수용체의 활동을 차단해 분해한다,

 풀베스트란트는 매달 두 번씩 주사로 투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비해 엘라세스트란트는 경구용이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X레이' 놓고 의사-한의사 충돌…입법예고 찬반 1만7천건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들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의사들과 찬성하는 한의사들이 총결집하면서 입법예고 기간 1만7천건이 훌쩍 넘는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국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영석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입법예고(10월 13∼22일) 마감을 앞두고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현재 1만7천300건가량의 의견이 등록됐다. 비공개 의견을 제외하고 제목에 '찬성' 또는 '반대'가 표기된 의견만을 놓고 보면 반대가 1만1천여 건, 찬성이 3천500여 건 정도다. 이 개정안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내용이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자 등이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도록 했고, 관련 복지부령은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을 의사, 치과의사, 방사선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의료기관 개설자나 관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안전관리책임자가 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한의사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경우 한의사도 안전관리책임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