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또 공사장 화재로 소방관 3명 사망, 언제까지 되풀이할 건가

민주당의 '3선 연임 초과 제한'이 진정한 혁신이 되려면

가까스로 갈등 봉합한 국민의힘, 공당다운 모습 보여야

▲ 국민일보 = 출범 1년 국수본, 커진 권한에 비해 부족한 역량

윤미향 이상직 박덕흠 제명 의견, 국회는 엄정 처리해야

이준석 일탈과 국민의힘 갈등 가까스로 봉합됐지만

▲ 서울신문 = 선관위, 대선후보 댓글 수사 의뢰 신중해야

오미크론 파고 넘을 '골든타임' 얼마 안 남았다

극적 갈등 봉합한 국민의 힘, 더이상 내홍은 없어야

▲ 세계일보 = 대선 표심 노린 노동이사제·타임오프 입법 강행 안 돼

갈등 봉합한 尹·李, 더이상 국민 실망시키지 말아야

北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에도 정부는 대화 타령만 하나

▲ 아시아투데이 = 방역패스, 국민 설득하고 형평성 논란 없애야

선심성 돈 뿌리기, 경제와 민생에 독이 될 뿐

▲ 조선일보 = 李 "부동산 반칙 잡겠다" 대장동 수사부터 받아야 하지 않나

文 가짜 평화 쇼 끝을 장식한 北 극초음속 미사일

다가오는 미국발 긴축 '퍼펙트 스톰' 정부는 선거용 돈 뿌릴 궁리만

▲ 중앙일보 = 이준석, 제1야당 지도자 자격 있나

탈모를 건보에? 이재명 포퓰리즘 멈춰야

▲ 한겨레 = 인권위 '통신자료 조회 남용' 비판, 국회가 나서라

또 소방관 희생된 물류창고 화재, 언제까지 봐야 하나

국민의힘 극한 갈등 봉합, 더는 볼썽사나운 모습 없어야

▲ 한국일보 = 가까스로 갈등 봉합한 尹·李, 뼈저린 반성과 쇄신을

화재 진압 소방관 3명 참변, 이런 비극 언제까지

엇갈리는 방역 판결, 법원이 합리적 기준 만들어야

▲ 디지털타임스 = 尹, 李 반성 전제로 진정성 갖고 소통해야 난국 돌파한다

'노조공화국' 만드는 노동이사제…입법절차 당장 중단하라

▲ 매일경제 = 임산부에도 적용한 방역패스 논란 정부 서둘러 혼란 막아야

명절 때마다 후퇴하는 김영란법 폐지가 답이다

이재명·송영길·이낙연 VS 윤석열·이준석·홍준표

▲ 브릿지경제 = 국민의힘, 정권 재창출 의지가 있기는 한가

▲ 서울경제 = 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시장 다변화 서둘러라

지방선거 앞 전국 곳곳서 퍼주기 경쟁 늪에 빠지나

탈모 지원·노령연금·임플란트…나랏빚은 누가 갚을 건가

▲ 이데일리 = 100억달러 첫 돌파 K푸드, 수출산업 가능성 보여줬다

대선판에 쏟아지는 건강보험 선심…뒷감당 누가 하나

▲ 전자신문 = 발목 잡힌 수소법 개정안

'백신주권' 마지막 힘 내자

▲ 한국경제 = 러시아 밸브 잠그자 유럽 가스값 32% 폭등, 이게 현실이다

美 긴축발작, 환율 1200원…이래도 돈 퍼주자는 소리만 하나

혁신의 경연장 CES…나라 밖은 눈이 핑핑 돌아간다

▲ e대한경제 = 선거철 돈 뿌리기, 표도 좋지만 나라 곳간을 생각해야

기업가 정신 사라진 경제계 신년인사회, 희망이 안 보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