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1일 조간)

▲ 경향신문 = 보사연의 방역 비판과 자영업자 지원 촉구, 정부는 새겨야

시효 앞두고 정진상 소환 또 연기, 이래서 수사 신뢰 얻겠나

K콘텐츠의 또 다른 개가, '오겜' 오영수의 골든글로브 수상

▲ 국민일보 = 양질의 일자리 창출했다는 정부의 자화자찬 황당하다

연금 개혁은 모르쇠 하고 공무원만 11만명 늘리다니

'우리 속의 세계' 확인한 오영수 골든글로브 수상

▲ 서울신문 = 다시 도진 李·尹 돈풀기 공약, 뒷감당 자신 있나

4개 정부 합한 것보다 공무원 더 늘린 文 정부

특례시 출범, 지방행정 체계 변화의 동력 돼야

▲ 세계일보 = 악재 쏟아지는데 '경제 성과' 홍보에만 매달리는 文정부

언론사 단톡방까지 뒤진 공수처를 與는 확대하겠다니

방역패스 혼란 없게 과학적·합리적 기준 빨리 내놔야

▲ 아시아투데이 = 국가 비전 고려한 현실성 있는 공약 내놔라

'CES 2022' 혁신상 휩쓴 도전정신 키우자

▲ 조선일보 = 김만배 "이재명 방침 따랐다"는데, 李 "오늘 재판했나"

공수처 전방위 전화 뒷조사에 "두렵다"는 시민들, 운동권 정권의 사찰

靑 회의서 "양도차익 100% 과세" 주장도, 부동산 대란 이유가 있었다

▲ 중앙일보 = 대선후보들, 공수처 '통신사찰' 근절 대책 제시해야

홍남기 '경제 36대 성과' 자랑, 선거용 혹세무민 아닌가

▲ 한겨레 = 세수 추계 또 대규모 오류, 기재부 부끄러운 줄 알아야

뒤늦게 안전 대책 내놓은 한전, 책임도 분명히 져야

'주주 신뢰' 깨버린 카카오페이 임원들의 스톡옵션 처분

▲ 한국일보 = 대선 3자 구도 재편…본인 역량이 승부 가를 것

대장동 의혹 연결고리 정진상, 당당히 조사 응해야

몰염치한 카카오페이 임원진의 '주식 먹튀' 논란

▲ 디지털타임스 = 외국인 국내 제조업투자 격감…규제 허물지 않곤 답없다

벤처 경영권 안정 위한 차등의결권 도입, 실보다 득많다

▲ 매일경제 = 노동이사제 졸속 입법 21대 국회 또하나의 과오될 것

60조원 역대급 세수 오차, 공돈 삼아 펑펑 쓸 돈 아니다

공급위축·로또광풍, 분양가상한제 민간확대 부작용 크다

▲ 서울경제 = 洪 "15일간 경제 성과 홍보" 대놓고 관권 선거 하나

말초적 '재미'가 아니라 '미래' 있는 정책 경쟁을 하라

"비정규직 공정수당 민간 확대"…노동 개혁이 먼저다

▲ 이데일리 = '발등의 불' 미국발 긴축 충격, 한국엔 '강 건너 불'인가

집값 전망에 눈감은 부동산원, 시장이 이유 납득할까

▲ 전자신문 = 외국인 투자, 관리도 중요

벤처특구, 창업 불쏘시개 기대

▲ 한국경제 = 이번엔 인권법…'덜컥 시행, 부작용 참사' 또 봐야하나

"도 넘은 돈풀기는 폰지사기" 맨큐 경고, 뼈아프게 들어야

中 국유은행 4조 펀드로 韓 투자, 독이 든 사과 될 수도

▲ e대한경제 = 李, 코미디 '합당' 사과하고 '조국' 사태에 분명한 입장 밝혀야

삼성전자 전 특허 수장 친정 상대 소송, 이래도 되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