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변 바다, 따듯해졌다…풍속 빠르고, 파도 높아져"

기상청, '해양기후 분석 보고서' 첫 공개…"기후변화 뚜렷"
한반도 연근해 수온 상승 폭, 전 해양·동아시아 해양보다 커
수온 오르면서 해상 풍속 빨라지고 파도 높이 높아져

 한반도 주변 바다가 다른 바다보다 수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기상청은이 공개한 '해양기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991~2020년 한반도 연근해 표층수온 평균(신평년값)은 18.53도로 1981~2010년 평균(구평년값) 18.32도보다 0.021도 올랐다.

 전 지구와 동아시아 표층수온이 각각 0.012도(18.18도→18.30도)와 0.0205도(20.54도→20.73도) 오른 점을 고려하면서 상승 폭이 컸다. 해양기후 분석 보고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한반도 연근해 수온.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지난해 한반도 연근해 수온은 연평균 18.98도로 2000년(18.37도)보다는 0.61도 올랐고 1981년(17.64도)보다는 1.34도 상승했다.

 기상청은 한반도 연근해뿐 아니라 지구적으로 2010년 이후 바닷물 온도가 두드러지게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반도 연근해 연평균 수온 상위 10개 연도 가운데 절반이 2010년 이후이며 전 지구 바다 연평균 수온은 상위 10개 중 한 해(2009년)만이 2010년 이전이고 나머지는 그 이후다.

 파도의 높이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이 상승하면 대기 안정도가 변화해 바다 위 바람이 강해지고 파도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우선 한반도 연근해 평균 풍속 신평년값은 6.39㎧로 구평년값(6.38㎧)보다 0.01㎧ 빨라졌다. 전 지구와 동아시아 바다 평균 풍속은 7.28㎧와 7.16㎧로 구평년값에 견줘 각각 0.04와 0.01㎧ 빨랐다.

 한반도 연근해 평균 유의파고(일정 시간 동안 친 파도 중 높이가 상위 3분의 1에 드는 파도의 평균 높이) 신평년값은 1.25m로 구평년값(1.22m)과 비교해 0.03m 높아졌다.

 전 지구와 동아시아 바다 유의파고 신평년값은 각각 2.39m와 2.08m로 구평년값보다 0.04m씩 상승했다.

한반도 연근해 유의파고.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한반도 연근해 평균 파고 상위 10개 연도 가운데는 7개년도가 2010년 이후이고 전 지구 바다 평균 파고 상위 10개 연도 중엔 두 해만이 2010년 이후였다.

 기상청은 "해양에서도 기후변화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라면서 "기후변화가 최근 더 가속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