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윤석열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정황, 진상 밝혀야

책임 통감한다는 선관위, 완벽한 본투표 관리 후 문책 따라야

송영길 피습,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용납할 수 없다

▲ 국민일보 = 노정희 선관위원장을 청문회에 세워야 한다

송영길 대표 피습까지…마지막까지 절제된 선거이어야

푸틴은 전쟁범죄인 민간인 살상을 당장 중단하라

▲ 서울신문 = 네거티브가 빚은 대낮 '정치 테러' 용서 못한다

확진자 본투표, 현장 혼란·부정시비 다시는 없어야

선관위, 위원장·사무총장 사퇴하고 개혁 나서라

▲ 세계일보 = 선관위 대책도 허점 많아…'투표권 침해' 시비 없도록 해야

송영길 대표 피습, 철저한 진상 규명이 우선이다

유가·환율·물가 급등 '퍼펙트스톰' 위기, 대비책 서두르길

▲ 아시아투데이 = 엉망진창 투표관리, 다시는 없게 해야

유가 폭등, 공포감보다 원전에서 대안 찾자

▲ 조선일보 = 文이 망가뜨린 대법원·선관위, 결국 대형 의혹과 대란 터졌다

방역 다 풀면서 덜 위험한 투표소만 억지 방역, 이유가 뭔가

유세 중 벌어진 대낮 망치 테러, 대선 후보 경호 강화해야

▲ 중앙일보 = 현실로 닥친 에너지 위기에 대책 있나

우려되는 선거 과열, 어떤 경우에도 폭력은 안 된다

▲ 한겨레 = '윤석열 통해 수사 무마' 김만배 음성파일, 진상 밝혀야

송영길 대표 피습, 민주주의 위협하는 폭력 용납 안돼

사전투표 혼란, 선관위 책임 크나 정치 공세 자제해야

▲ 한국일보 = 송영길 피습…편가르기 선거 과열 개탄스럽다

확진자 본투표 개선책, 추호의 혼란도 용납 안 된다

김만배 발언으로 다시 불거진 부산저축은행 의혹

▲ 디지털타임스 = '사상 최악' 혼탁 대선, 국민의 이성적 판단 절실한 이유다

복합위기 덮친 韓경제…스태그플레이션만은 막아야

▲ 매일경제 = 유가 배럴당 130달러, 현실이 된 오일쇼크

사고친 선관위 뒤처리도 우왕좌왕 한심하다

'방화는 테러' 경각심 높인 동해안 대규모 산불사태

▲ 서울경제 = 궤도 수정 없으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전철 밟는다

"촛불·식물대통령"…대놓고 국민을 겁박할 건가

부동산 세금 폭탄에 전월세 서민 고통만 더 커졌다

▲ 이데일리 = 고물가 초비상에도 정부 전망은 '미지근', 정말 괜찮나

바닥난 코로나 생활지원비, 기준 조정 등 보완 급하다

▲ 전자신문 = '中 반도체 굴기' 위기이자 기회

대선 '막가파 폭력' 용납 안돼

▲ 한국경제 = 경제 먹구름 밀려오는데 '퍼주기 리더십'만 보인다

민간기업 CEO 승계 과정을 왜 정부가 간섭하나

공직자 무능·직무유기 전형 보여준 선관위원장

▲ e대한경제 = 대선 D-1, 잘 선택해야 뽑아놓고 후회하지 않는다

오일 쇼크 급속히 현실화, 원전 중심 에너지믹스 전환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