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노정희 중앙선관위원장, 조직 신뢰 다시 세우려면 사퇴해야

'서·서·오·남' 인수위와 윤석열 행보, '미래통합정부'와 멀다

대통령 집무실, 장소가 아니라 국민소통이 핵심이다

▲ 국민일보 = 코로나 예측과 대책 모두 실패…文 대통령이 설명하라

청와대 이전, 제왕적 대통령제 폐해 극복 계기 돼야

국민 감동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이서남' 인수위

▲ 서울신문 = 청와대 이전에 친일 프레임 건 탁현민 비서관

윤석열 인수위 출범, '통합과 협치' 로드맵 기대한다

노정희 위원장 사퇴 않으면 6월 선거가 큰 걱정

▲ 세계일보 =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국가 대사…그만큼 신중히 따지길

통합·전문성 중시한 윤석열 인수위, 과욕과 오만 경계해야

'소쿠리 투표' 참사에도 "자리 지키겠다"는 선관위장 몰염치

▲ 아시아투데이 = 靑개혁과 함께 '책임 장관' 추진, 정부개혁 기대

韓, 금리 인상 불가피하다면 선제 대응 나서야

▲ 조선일보 = 사망자 400여 명에도 방역 완화 타령, 이유라도 듣고 싶다

脫청와대 공약, '취임 첫날부터'에 집착하면 탈난다

'탈원전 돌격대장' 한수원 사장의 뻔뻔한 연임 욕심

▲ 중앙일보 = 노정희 선관위원장에게 6월 지방선거 맡길 수 없다

코로나에 관한 한 대한민국은 무정부 상태

▲ 한겨레 =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 후보' 추천 철회하는 게 정도다

'사퇴 거부' 노정희 선관위원장, 책임지고 물러나야

이틀간 100만명 확진, '독감 치명률' 운운할 때 아니다

▲ 한국일보 = 긴축시대 신호탄 쏜 미국…취약층 대책 마련 시급

서울대 출신 남성 일색 인수위…내각 구성 땐 바뀌어야

확진자 60만 명대 폭증인데 독감 수준 관리하겠다니

▲ 디지털타임스 = 세계 식량위기 가시화…새 정부, 최우선 정책과제 삼아야

'협치' 모양새 안보이는 尹당선인 인수위, 아쉽다

▲ 매일경제 = 우크라 난민수용, 우리도 인도주의 차원에서 검토해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작, 한은총재 인선 서둘러라

인수위 출범, 일 잘하는 실용정부 기틀 다지길

▲ 브릿지경제 = 文 정부, 임기 내 코로나 종식 선언 원했나

▲ 서울경제 = 거꾸로 가는 노동시장 유연성…개혁 미루면 미래 없다

'기울어진 선관위' 바꾸려면 위원장부터 즉각 사퇴해야

긴축의 시대…文정부, 한은 총재 '코드 인사' 고집 버려라

▲ 이데일리 = 확진자 폭증 속 줄잇는 완화 사인, 방역 고삐 놓는 건가

불붙은 애그플레이션, 식량안보 대책 안심해도 되나

▲ 전자신문 = 인수위, '미래산업'에 답해야

'금결원 회전문 인사' 이젠 끝낼 때

▲ 한국경제 = 직원들도 나가라는데 버티는 선관위원장의 후안무치

이틀 새 확진 100만…국가 기간시스템 마비는 막아야

인수위 출범…조급증 버리고 '5년 큰 그림' 그려야

▲ e대한경제 = 인사권 놓고 갈등 빚는 신·구 권력, 협의 통해 행사하는 게 순리

美 인플레 파이팅과 분명한 불확실성 해소 의지 본받아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얼마나 돌아올까…이번주 수련협의체 논의 주목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오는 7일 전공의 수련협의체 논의에 따라 하반기 모집 공고가 곧 이뤄질 예정인데, 1년 6개월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얼마나 수련 재개를 택할지 주목된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내기 전에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로, 대표적인 것이 미필 전공의들을 위한 입영 특례다. 의무사관후보생인 미필 전공의들은 사직하면 자동으로 군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